노벨문학상 필독서 30 - 조지 버나드 쇼부터 아니 에르노까지 세기의 소설 30권을 한 권에 필독서 시리즈 4
조연호 지음 / 센시오 / 202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려울 게 뭐 있어? 그냥 읽으면 되지...' 그러게 말이다. 그냥 읽기라도 해야 뭔 말인지 알 텐데, 그 읽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요즘처럼 새롭고 다양한 영상 미디어 시대에 한가롭게(?)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특히 문학작품은 온전히 시간을 내서 읽기가 참 쉽지 않다.


명작이라고 필독서라고 불리는 수많은 작품들을 언제 다 읽을까, 아니 읽어볼 수는 있을까, 시간이 남아돌아도 선뜩 손이 가지 않는데 말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노벨 문학상 필독서 30>은 이런저런 핑계(?)로 문학작품 한두 권 읽기 힘든 현대인들을 위해 작가가 1909년부터 2022년까지 역대 119명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중에서 30명의 대표작을 엄선해 한 권에 담았다.


이 책에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설명부터 심사평, 작품이 주는 메시지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권당 10분이면 읽어볼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 소개되어 있다.




저자는 왜 노벨문학상 작품들을 선정해 소개했는지에 대해 누구나 인정할 만한 명확한 기준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벨문학상은 수상 당시 살아 있는 사람만 받을 수 있고, 공동 수상이 가능한 다른 노벨상과는 달리 ‘단독’으로만 받을 수 있는 상이란 점도 관심을 근다.


특히 노벨문학상은 작품성이 가장 중요한 선정 기준으로 작용하지만 시대 상황이나 출신 등 작품의 외적 요소도 수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고. 그런데 노벨문학상은 작품이 아닌 작가에게 수여하는 상이라는 점이 새삼 새롭게 다가온다.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 것은 오랫동안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온 작가가 독자와 평단 모두에게 검증받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장 폴 샤르트르는 노벨문학상을 거부했다고 한다. 그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얽매이기 싫다는 이유로 수상을 거부했다고 하는데, 이처럼 잘 몰랐던 노벨문학상과 관련된 새로운 것들을 알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노벨문학상이 제정된 1901년부터 1959년까지,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그리고 2000년대 이후로 크게 3개 시기로 나누어 시대별로 대표 ‘소설가’ 7인, 8인, 15인을 선정해 총 30인의 작가와 그들의 대표작을 정리해 소개했다.


책을 읽어보고 싶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읽지 못했던 작품들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고, 좀 더 나아가 그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읽어보는 등 좀 더 풍성한 독서의 세계로 이끈다는 점에서 의미 있게 다가온다. 이 책에서 제일 처음 소개한 작품은 스웨덴 출신의 소설가 셀마 라겔뢰프가 쓴 <닐스의 이상한 모험>이다.


장난꾸러기 닐스가 요정의 저주로 엄지손가락만 한 크기로 줄어들어 집에서 키우던 거위를 타고 여행하는 모험담을 그렸다. 개인적으로 이 작품은 어렸을 적에 애니메이션으로 봤었는데, 지금도 너무 좋아하는 작품이다. '고상한 이상주의를 인정하며, 그녀의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생생한 상상력과 영감이 넘치는 인식을 고려해 이상을 드린다'는 심사평이 인상적이다.




이외에도 이 책에는 행복은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파랑새>를 비롯해 중국의 가난한 농부 삼대의 삶을 그린 펄 벅의 <대지>, 물고기를 향한 노인의 집념을 그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등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1901년에서 1960년대 씌여진 잘 알려진 작품들과 함께 1960년에서 2000년대 씌여진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패트릭 화이트의 <전차를 모는 기수들>, 주제 사라마구의 <눈뜬 자들의 도시>, 그리고 2000년대 이후에 씌여진 가오싱젠의 <버스 정류장>, 앨리스 먼로의 <디어 라이프>, 압둘라자크 구르나의 <낙원>,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 등 다양한 작가와 작품들들을 만날 수 있다.


물론 시대별이 아닌 관심 있는 작가의 작품들부터 읽어도 상관없다. 이 책을 통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의 작품에 대한 간략한 소개 글을 읽고 흥미가 당긴다면 원작을 찾아서 읽어보시고 사고의 범위를 넓혀 가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은 센시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 출처 : 박기자의 책에 끌리다, 책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