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를 즐겁게 -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박호순 지음 / 비엠케이(BM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IT 분야에서 기자로 일하면서 수많은 기사를 썼지만 가끔 TV에서 '우리말 겨루기'라는 프로그램을 보다 보면 듣보잡이라고 할 만한 용어들이 많이 나온다. 아니 세상에 저런 말도 있었나 싶은 단어와 뜻풀이를 보다 보면 우리말 잘 하는 사람은 따로 있나 싶은 생각이 든다.


올바른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치러지고 있는 'KBS한국어능력시험'을 봐도 직접 문제를 풀어 보면 쉽지 않다. 매일 한국어로 말하고 읽고 쓰는데도 여전히 모르는 단어나 문장들은 부지기수다. 더욱이 요즘엔 알고 있는 말도 줄여서 말을 하곤 하니 도무지 국어의 깊이를 알 수가 없다.


초·중·고등학교 쌤인 저자는 민속연구가로 평생 어린이와 청소년 교육에 매진해 왔다. 이번에 새롭게 펴낸 〈국어를 즐겁게〉에는 아름다운 우리말과 우리 역사, 우리 민속에 관한 저자의 깊은 애정이 묻어 있다. 그는 이미 ‘우리 민속’에 대한 올바른 정의를 찾기 위해 〈우리 민속의 유래 1, 2〉를 낸 적이 있는데, 이 책에서는 우리말과 우리 정신의 근거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 책은 ‘우리말의 어원과 역사적 근거’를 밝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1장 '언어(言語)'에서는 우리 전통문화의 토대가 된 우리 민속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얼굴에 담긴 의미는 무엇인지, 한참이라고 하면 어느 정도의 시간을 말하는지, 쪽팔리다와 자존심 상하다의 차이는 무엇인지 평소 궁금하던 것들을 짚어 주고 있다.


2장. 민속(民俗)에서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우리 역사에 대해서 살피고 있다. 우리 설과 까치설의 기원은 어떻게 시작됐는지, 오방색과 오방신은 무엇을 말하고 귀산과 붉은색의 의미를 엿본다. 3장. 역사(歷史)에서는 우리 주변의 식물과 지명의 유래에 대해 찾고 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명칭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짐과 과인의 차이는 ㅜ무엇인지, 잉어와 등용문 등 역사적 사건과 고사성어에 담긴 진실을 파헤치고 있다.


4장. 식물과 지명(地名)에서는 이팝나무는 입쌀밥나무이고, 상사화와 일편단심 민들레의 의미는 무엇인지, 두들기 고개나 재랭이 고개, 무릎 고개의 뜻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5장 교훈(敎訓)에서는 공자가 말하는 나이에 대한 별칭은 어떻게 된 것이지, 업과 인과응보는 무엇인지 등 우리의 고유 정신과 미풍양속을 근거로 남아 있는 다양한 말들의 의미와 뜻을 전하고 있다.



<국어를 즐겁게>는 우리가 교과서에서 한 번쯤은 읽어봤음직한 용어나 역사적 사건, 민속, 식물, 지명, 교훈들을 우리는 얼마나 제대로 정확하게 알고 있을까에 대해 묻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이오덕 선생님의 <우리말 바로쓰기>처럼 저자가 갖고 있는 올바른 우리말에 대한 애정과 관심에서 찾아낸 깊이 있는 어원 탐구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얼굴에 대해 여러 가지 의미를 담아 말을 하곤 하는데, 이 책에는 그 의미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한참', '사랑한다'라는 말들의 정확한 어원과 근거 있는 의미 부여 등을 비롯해 우리가 잘못 사용하는 ‘쪽팔리다’나 ‘완전~~’하다 같은 언어들의 올바른 사용법 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평소 올바른 우리말 사용을 바라는 마음이 있지 않다면 쉽게 넘어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p.13

얼굴에는 인간의 감정인 희로애락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마음속으로 느끼는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 등의 심리 상태가 숨김없이 얼굴에 드러나는 것이다. 또한 얼굴은 자신의 인격과 인성, 문화 수준, 생활양식 등 자신에 관한 모든 것이 알게 모르게 상대방에게 인식되는 출구이기도 하다.



p.276

'태극기'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19년 3월 1일 조선의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 선언을 하던 때부터였다고 한다. (중략) 이날 참여할 모든 백성들은 누구를 가리지 않고 태극기를 들고 나오기로 하였는데, 그때만 해도 '조선 국기'라고 부르던 명칭을 일본인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태극기'로 부르자고 약속을 하면서부터였다고 한다. (그러나 한편 태극 문양 때문에 '태극기'라고 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도 해본다) 그러다가 1942년 3월 1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23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우리나라 국기의 명칭을 '태극기'로 정하고 그 존엄성을 명문화하였던 것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우리가 생활하면서 무심코 지나치는 말들 중에 잘못 사용하는 것들도 많지만 우리 민속이나 역사 사건, 미풍양속 등에서도 생각보다 많은 오류와 잘못된 정보들이 그대로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저자는 우리 설과 단오, 우리 전통문화(오방색과 오방신)와 민간에서 잘못 알고 있는 귀신에 대한 속설, 대보름날의 근친(覲親)의 의미 등에 대해서도 어떤 의미들이 있고, 제대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같은 명칭을 비롯해 함흥차사와 평안감사는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 아리랑 고개는 어떻게 생긴 건지 등 별것 아닌 것처럼 우리말 어원의 유래와 의미 파악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게 소개했다. 또한 우리 살림살이에 대한 따뜻한 시선은 물론 우리가 뭉뚱그려 사용하는 순국열사, 호국 영령, 의사, 열사에 대한 각각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올바른 국어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 <국어를 즐겁게>의 저자는 우리 문화와 정신에 나타난 조상들의 얼과 슬기를 찾아 후손에게 전하고 싶은 마음과 함께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온고지신(溫故知新)으로 바른 인성을 길러 밝은 미래를 활짝 열어가는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비엠케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 출처 : https://blog.naver.com/twinkaka/222320344890


* 박기자의 끌리는 이야기, 책끌 https://bit.ly/2YJHL6Z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