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이은영 편역 / 왼쪽주머니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는 이백, 두보, 도연명 등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부터 박지원, 정약용 등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실학자, 그리고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선승인 잇큐 소준(一休宗純)에 이르기까지 한·중·일 3개국의 대표적인 학자와 문인들의 한시를 모아 소개한 책이다.

'한시(漢詩)'는 우리 조상들이 근대 이전에 한자(漢字) 또는 한문(漢文)으로 기록한 시가(詩歌)를 일컫는 말로, 중국에서 전해지는 고전 시가와는 다르다. 다만 형식적인 측면에서 한시가 중국에서 기원하여 우리나라에 전파된 것이므로 형식적으로 많이 유사하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동양문학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한시는 한자의 영향을 받은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의 선인들이 한자권 사회에서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떻게 자연을 바라보았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책에는 총 194명이 쓴 321수의 한시가 담겨 있다. 김청한당, 허난설헌, 황진이 등 여류 시인들의 시도 수록되어 있다.

한시는 중고등학교 시절, 국어 과목을 배울 때 잠깐 배운 것 말고는 많이 접해 보진 않았다. 한때 한자가 입시에서 빠져 한자를 전혀 배우지 않았던 세대도 있고, 현재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 성인들 중에서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단어)의 70% 이상이 한자에 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한자를 잘 알고 있다면 어떤 의미를 말하는지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다.

당시에 한시를 지은 이들은 글을 쓸 수 있었던 특권층이었다. 그들은 일을 하고 특권층에 복종하면서 살아야 했던 하층민과는 삶 자체가 달랐다. 한시를 읽어 보면 그들이 얼마나 풍류를 즐기고 자연을 벗 삼아 살았는지 엿볼 수 있다. 물론 사랑, 우정, 그리움 등 자신들이 처해 있던 상황에 대해 풍경과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기도 했다.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21세기에 한시를 다시 봐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과거에는 지금과 같은 통신 시스템이 발달하지 않아서 편지 한 통을 써서 다른 사람 손으로, 혹은 말을 타고 내용을 전달해야 했기에 며칠에서 몇 달이 걸리기도 했다. 따라서 기다리고 또 기다리는 일에 익숙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문자나 이메일, 전화 한 통화로도 상대방과 바로바로 소통할 수 있어 기본적인 생활 환경이 많이 달라져 있다.

또한 여성도 적극적으로 사회에 진출하고 있고, 남녀노소 누구나 SNS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하지만 인간의 삶은 유한하고, 인간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은 과거나 지금이나 똑같다. 따라서 군신사회[君臣社會]에 살았던 선인들의 세상에서 그들은 어떻게 인생을 바라보았고, 희로애락[喜怒哀樂]을 느꼈을지 생각해 보면 좋을 것이다.

이 책은 한시를 천지인풍[天地人風]이라는 4개의 카테고리로 나누고, 그 안에 6개의 키워드로 다시 분류해 다양한 한시의 세계로 초대한다. 이 책의 저자는 다양한 한시를 소개하는 것은 물론 당시의 시대상을 비롯해 지은이의 에피소드를 소개함으로써 왜 이런 한시를 쓰게 됐는지 되짚어 보는 데 도움을 준다.




코로나19로 주말에도 집콕하는 시간이 많아지다 보니 친구들과 만남이 예전만 못하다. 이 책에 소개된 여러 한시 중에서 관심을 끈 중국 3국 시대 위나라 사상가이자 문학작 겸 시인이었던 완적[阮籍]의 시 한 편을 소개한다. 한시는 어렵지만 풀이와 함께 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사람이 생각하는 것들은 비슷하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다.

영회[詠懷]

                          완적[阮籍]


빈방에 홀로 앉았으니 누구랑 즐기랴
문 나서도 끝없는 길에 인적이 끊겼네
산에 올라 두루 살피니 빈 들판 적막해
외로운 새는 북으로, 외톨이 짐승은 남으로
해 질 녘 친구 그립다 내 신세 털어놓고파





삶은 유한하고, 모든 건 변한다
한시 속에서 발견한 인생의 묘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