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 -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다마키 도시아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는 세계 경제 패권의 역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이 책은 700만 년에 달하는 인류의 역사에서 어느 한 주제에 초점을 맞춰 세계사를 조명하고 있다. 필자는 '글로벌리제이션(Globalization)'이라는 핵심어를 제시했는데, 지금까지 알고 있던 '세계화'와는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역사를 바라보고 있다.




저자는 인류가 지금까지 세 번의 커다란 글로벌리제이션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호모에렉투스가 유라시아 대륙으로 퍼져 나간 것을 1차로 본다면, 호모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나와 세계 각지로 뻗어 나간 것을 2차로, 대항해 시대에 유럽인이 세계 곳곳으로 원정을 떠난 것을 3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봤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현대사회는 3차 글로벌리제이션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2차 글로벌리제이션에서 인간은 세계 각지로 이주해 정착 생활을 시작했고, 6대 문명을 탄생시키며 농경 생활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문명의 탄생 이후에도 인류의 역사의 정착민과 이동하는 사람들의 상호 관계로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6대 문명 중에서 중국은 최초로 경제 성장에 성공한 문명으로 15세기 무렵까지 양자강 유역은 세계에서 가장 생활 수준이 높았다고 평가했다.




3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유럽이 세계사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오랜 기간 동안 중국이 갖고 있던 패권은 유럽으로 넘어갔고 유럽의 경제 발전에 불을 붙였다. 특히 유럽인은 바스쿠 다가마의 인도항로 개척 이후에 아시아 상인들이 주도했던 경로를 장악했고, 대서양 경제권을 형성한 유럽인은 아시아로 방향을 전환했다.


또한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활판 인쇄술 덕분에 상업이 관행이 통일되어 상업신문, 상품 가격을 표시한 '가격표' 등으로 상인의 시장 참여를 위한 문턱이 낮아졌다. 가장 먼저 상업을 중심으로 부유해진 도시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이었다. 아시아 몇몇 지역을 식민지로 삼은 영국 등 유럽 국가는 자국 선박을 이용해 아시아의 상품을 직접 들여왔다. 이때부터 유럽 상품을 아시아에 수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영국은 면직물 공업으로 공업화(산업혁명)을 이뤘고, 세계 최초의 공업 국가가 되었다. 유럽 각국이 공업을 발전시켜 전 세계에 상품을 판매하면 할수록 수송료, 무역 수수료가 영국으로 흘러들어가 영국은 시간이 지날수록 부유해졌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며 영국이 만든 근대화 시스템은 붕괴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패권 국가의 자리를 넘겨받게 됐고, 다른 한편에서는 사회주의 국가가 세계 무대 전면에 등장했다. 미국의 지배력은 1970년대 초에 바닥으로 떨어졌고, 중국과 일본이 아시아의 패권을 쥐게 되면서 아시아가 세계 경제를 지배할 것처럼 보였지만 그러지 못했다.




이 책은 경제사를 중심으로 공업보다 사람들의 움직임, 네트워크, 물류,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국가의 힘에 주목했다. 저자는 세계 역사학계의 학설을 최대한 수용하면서도 자신의 견해를 곁들였다. 인류 역사에서 '아시아 우위 시대'가 길게 이어진 이유를 시작으로 유럽은 어떻게 세계를 재패했나, 아시아가 오랜 잠에서 깨어난다는 주제를 통해 독자들이 갖고 있는 '역사 상식'을 완전히 뒤집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 책은 세계사를 경제적인 논리에서 패권이 어떻게 이동했는지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어떤 변화들이 있었고, 어떤 대가를 치렀는지 역사적인 사건들을 소개하면서 작가의 개인적인 견해도 덧붙였다. 세계사의 흐름을 한눈에 짚어봤다는 점에서 이 책은 세계사에 관심이 많고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출처 : https://blog.naver.com/twinkaka/222008934742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