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아름다움은 이미 때 묻은 것 - 모성, 글쓰기, 그리고 다른 방식의 사랑 이야기
레슬리 제이미슨 지음, 송섬별 옮김 / 반비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움을 때 묻은 것에 비유하다니...처음에 이 제목이 무척 도발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찬찬히 들여다보니 그동안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편협했던지...느껴졌다.

순수하고 맑고 고귀한 것을 아름다움으로 인식했다면 그것이야말로 얼마나 잘못된 것이었는지 말이다.

저자는 한 아이를 키우는 싱글맘으로서의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지면에 털어놓는다. 남편과는 현재 이혼소송 중이고, 아이는 아직 너무 어리다. 경제적 활동은 글쓰기를 통해 이뤄진다. 그리고 그녀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이있다. 바로 술에 지극히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알콜 중독의 유혹에서 싸워가면서 한 아이의 엄마로 살아가는 일은 얼마나 힘겹고 버거운 일일까?

레슬리 제이미슨이 엄마이자 작가 교사로그리고 한 남자의 아내였던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그 자리에 있는 자신의 상황을 바라보고 솔직하게 쓴 에세이는 뭐랄까... 기존의 것과는 다르다. 한풀이나 넋두리가 아니라 왠지 친근하다. 자신의 일상(좁게 말하면 육아의 일상)을 보여주는 데 왠지 낯설지가 않다. 그저 덤덤하다.

현실이 가시밭길이라지만 그녀의 일상은 그녀가 보여주는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있는 느낌이 든다. 흡사 그 아름다움이 아이의 똥기저귀를 갈면서 느끼는 아름다움이라 할 지라도 말이다.

그녀는 자신이 묘사한 대로 마트료시카같다. 그녀 안에 모든 것이 차곡 차곡 쌓여있는 느낌이 있다. 그것은 시간이 지난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까도 까도 나온다. 사랑할 기운이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다시 사랑을 쫒는 그 무엇처럼 말이다. 사랑에 지치지 않는 사람처럼 말이다.

그녀가 아이에게 만트라처럼 중얼거린 말은 나를 사랑하니?가 아니라 내가 널 얼마나 사랑하는 줄 아니?란 말이었다고 한다. 그러면 아이는 작은 심장 소리를 연료처럼 그녀에게 들려주었다고 한다. 차마 자신을 사랑하는지 물어보기 겁이 났던 것이 아닐까? 왠지 그런 마음도 든다.

아이는 살아있고 자란다. 절대 다시 돌아갈 수 없다. 엄마의 뱃가죽에 나있는 검붉은 자국은 아이와 엄마가 한 몸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것뿐이다. 흔적만 남아있다. 레슬리는 말한다. 결혼 생활이 자신에게 남겨준 가장 큰 부분이 아이라고 말이다. 계속 살아간다. 햇살과 어둠을 반복하면서. 그저 그뿐이다. 흉터를 감내하고서. 그리고 우리는 안다. 그 자국조차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이제는 오래되고 낡고 거칠고 손때묻은 것들에 아름다움이라는 호칭을 붙여주고 싶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