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 뇌 문학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문학적 성찰
석영중 지음 / 열린책들 / 2024년 10월
평점 :
처음에는 이 방대한 양의 책을 보았을때 좀 두려웠다. 더군다나 제목이 [눈 뇌 문학] 이라니... 생물학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 더 나아가 문학적 지식까지 고루 갖춰야 비로소 이해될 것같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역시 하나 하나 읽어가다보니 그동안 안다고 생각했지만 미처 깊이있게 통찰하지 못했던 것들의 총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왠지 두고 두고 읽을 만한 철학 서적같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본다는 것의 의미를 폭 넓게 독자에게 말해주고 있다. 작가에게 어느날 찾아온 안구건조증과 비문증이 본다는 것의 서막을 열었으며 러시아 문학을 바탕으로 그것은 더한 깊이로 통찰이 되었던 것이다.
시각을 상실한다는 경험은 생각하기도 싫은 일지만 보는 일이 결코 시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뇌로 본다고 생각하면 단순히 눈이라는 살덩이를 넘어서서 인간은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이란 바로 제대로 보는 법을 가르쳐주는 것이다. 하지만 보는 것이 아는 것이라는 담론은 일반화하기에는 논란의 소지가 있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에게는 본다는 대상이 무척 다양화되었으며 기호화를 통해 보고 인지를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볼 수 없는 것 역시 존재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말한다. 감각과 인지가 시각이라면 본다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마저 보려고 노력하는 것 자체가 시각의 위대함이라고 말이다.
정말로 본다는 것은 무엇일까? 뇌로 본다는 것은 어떤 말일까? 더 나아가면 우리는 뇌를 넘어서 보는 것이다. 시각이 부재해도 뇌만 존재해도 볼 수 있다는 것은 인간 자체의 의미 설정을 달리한다.
저자는 눈의 탄생부터 윤리에 대한 문제, 환상, 창조하는 눈, 신과 마주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리에 도착에 이르기까기 각 챕터별로 일목요원하게 그 주제를 놓치지않고 한 곳을 향해 써 나갔다.
책의 내용 중 동물들도 프라이버시가 있어야 살 수 있다는 내용은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감각은 각성이라는 것. 깊이 안다는 것은 종교적 행위라는 것. 진심으로 본다는 것은 각성을 의미하며 그것은 신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라는 것 등은 미처 생각할 수 없었던 깨달음이었다.
두 눈을 갖고도 잘 못 보는 현실, 진실이 존재해도 외면하는 것. 정말 우리는 잘 보고 있는 것이 맞을까? 시력은 있어도 장님으로 사는 사람이 많은 현실은 얼마나 애통한 일인가?
다시금 오래 곁에 두고 곱씹어보고픈 책을 만난 것같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