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반니의 방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90
제임스 볼드윈 지음, 김지현(아밀)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6월
평점 :
『조반니의 방』
제임스 볼드윈 (지음) | 김지현(아밀) (옮김) | 열린책들 (펴냄)
요즘은 성적지향에 대한 많은 이름들이 있다.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이성애, 동성애, 무성애 등 등. 아무래도 지금은 예전보다 나아졌지만 아직도 이성애를 제외한 모든 이들은 음지에 가려져있다. 심지어 최근까지 퀴어 축제가 한국에서도 여러 번 있었지만 그때마다 반대한다는 성명과 여기저기서 고발하는 등... 아직도 갈 길은 멀기만 하다.
소설 [조반니의 방] 속의 주인공들은 시대를 앞섰다. 지금 이 시대에 조반니나 데이비드, 자크 같은 인물이 나왔다면 어찌됐을까? 최소한 데이비드의 방랑은 짧은 시간에 끝났을 것이다. 소설에서는 이리저리 떠돌던 데이비드가 조반니의 삶이 교도소 철장 속으로 영원히 닫힐 때쯤에야 그의 방랑은 끝나는 것처럼 보인다.
소설에서 계속 말하는 [조반니의 방]이란 과연 어떤 곳일까?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될 것이다. 하나는 공간으로서의 방과 또 다른 하나는 숨겨둔 자아, 즉 자신의 성적갈망이 온전히 표현될 수 있는 내면의 방이다.
아마도 데이비드는 알았을 것이다. 십대 시절부터 자신은 다르다는 것을. 그리하여 미국청년인 그가 도피하듯 파리로 와서 이탈리아인 조반니를 만날 수 있었다. 아마도 그가 자신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랐다면 낯선 곳에서 낯선 남성과 바로 동거를 시작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1956년이라는 시대적 배경은 자유와 낭만, 거부와 갈등 등이 씨실 날실처럼 얽히고 태동하는 시기였다. 그때는 무엇이라도 될 법했지만 그것이 무엇인지는 아무도 몰랐던 시절이다. 전쟁이 끝난 직후 새로움의 토대가 마련되었지만 또 다른 갈등이 싹튼 시기, 자유를 말해도 그것을 어찌 쟁취해야하는지 모를 시기였다.
혼란의 시기에 데이비드 역시 혼란에 빠졌다. 사회적으로도 내적으로도 말이다. 그는 자신의 성적 지향을 인정할 수가 없다. 인정한 즉시에 고민해야한다. 인정한 즉시에 고통스러워야한다. 아파야한다.
헬라가 파리로 돌아온 순간 데이비드는 자신이 정상적인 남자라고 생각한다. 아니 착각에 빠진다. 그는 누구보다 정상적이라는 남자다움을 찾기를 바라면서 그것이 자신에게 없다는 것을 느낀다. 있지도 않는 것을 찾는 자, 그 결말은 뻔하다.
조반니의 방은 데이비드에게는 자기 자신으로 있는 유일한 공간이다. 반면 탈출하고 싶은 공간이기도하다. 왜냐하면 그 공간이 없어야만 자신의 남자다움이 살아날 것이기에. 공간이 있다면 자신은 되돌아가야한다. 조반니의 방으로, 그 안으로, 조반니 속으로 말이다.
끝내 헬라의 부탁, 즉 자신이 여자로 느끼게 해달라는 그 말을 데이비드는 거부한다. 아니, 그럴 수 밖에 없다. 조반니의 방에서만 그는 그로 살아갈 수 있으니 말이다. 그 속에서 데이비드는 결국 그를 구원할 열쇠를 찾는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