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들마치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6
조지 엘리엇 지음, 이미애 옮김 / 민음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들 마치』​​

조지 엘리엇 (지음) | 이미애 (옮김) | 민음사 (펴냄)

처음엔 이해하지 못했다. 왜 버지니아 울프가 이 소설을 그렇게 칭찬했는지, 왜 성인을 위해 쓰인 극히 드문 영국 소설 중의 하나라고 했는지 말이다. 읽어보니 그리고 맥락을 보니 왜 그런 칭송을 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소설은 기존의 여타의 다른 소설과는 접근하는 문법이 다르다. 빅토리아 시대를 생각하면 더더욱 그러하다. 그 시절 여성들의 삶이란 어떠한가? 막 피어나려는 데 짓 밝혀야 하는 아마도 그런 느낌이 아니었을까? 머리로는 기존의 관습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어도 아직 사회는 그들을 사회 구성원을 받아들이려는 준비가 덜 되어있었다. 여성의 참정권이 막 논의되고 여성운동의 시발이 꽃 피는 즈음 정말 현대적이라고 일컬어지는 당대의 여성 지식인들의 삶은 아마도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소설가 제인 오스틴은 작은 응접실에서 글을 썼다고 한다. 왜 그렇게 썼는지는 자명하다. 벨이 울려 사람들이 들어오는 인기척이라도 들리면 얼른 작은 수첩을 닫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토록 작은 책상에서 그런 대작이 탄생했다는 사실이 참 놀랍다. 조지 엘리엇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 소설은 어쩌면 그녀의 자전적인 글쓰기가 아니었을까 싶다. 작가의 평소 생각들이 글 속 곳곳에 녹아있는 듯하다. 그리고 결혼에 대한 고민과 배우자에 대한 생각, 진정 여성이 나아가야 할 길 등등이 책 속 맥락 구석구석 녹아있다.

극 중 도러시아라는 인물은 몹시도 흥미롭다. 그녀는 자신에 대한 꿈보다는 남편감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다. 자신은 사회적 제약 때문에 포기한 지적 열망을 그녀는 남편의 대상이 되는 목사 캐소본에게 투영한다. 흡사 자신의 못 이룬 꿈을 대신 이뤄주기를 바라는 현대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모의 바람을 그녀는 자식에게 투영하는 대신 남편에게 투영한다. 과연 남편인 캐소본은 그녀가 바라던 그런 남편감이었을까? 그녀는 캐소본이 현대의 밀턴이 되길 바랐다. 그는 학자로서도 무능했을뿐더러 이기적이고 편협한 사고방식의 소유자였다. 그리고 심지어는 도러시아에 대한 애정도 없었다. 그가 도러시아와 결혼한 배경에는 그녀에게 그다지 결점을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것이 유일했다. 기대가 없으니 애정도 없는 것이다. 도러시아의 고민은 여기에서 시작한다. 아마도 그녀는 캐소본이 학문에의 열정이 없고 그다지 기대할 만한 것이 없다는 것에 실망이 컸을 것이나 애정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 또한 스스로 힘들었을 것이다.

도러시아와 부부와 다른 인물 프레드 빈시와 메리 가스의 삶을 통해 조지 엘리엇은 또 다른 관계의 설정을 독자에게 말해준다. 과연 성인은 결혼을 통해 무엇을 기대할 수 있단 말인가? 그리고 결혼 후의 독자적인 삶이란 어떠해야 하는가? 이상적인 부부관계의 모습은 과연 어떠한가?

조지 엘리엇은 세 쌍의 모습을 통해 독자에게 스스로 생각할 거리를 준다. 그리고 독자는 조지 엘리엇이 살았던 빅토리아 시대를 머릿속으로 그리면서 대신 그 시대로의 여행을 떠난다. 여행은 몹시도 사실적이며 진지하다. 그리고 그 여행은 곧 미들 마치 두 번째 권으로 이어진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