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대받은 여자 2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5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강초롱 옮김 / 민음사 / 2024년 2월
평점 :
『초대받은 여자』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 강초롱 (옮김) | 민음사 (펴냄)
솔직히 말해서 이런 결말을 예상하지 못했다. 전혀 다른 결말이었다. 나는 그냥 프랑수아즈가 영원히 그자비에르를 떠날 거라고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프랑수아즈가 그자비에르에게 보인 집착 혹은 성정은 강렬했다. 오히려 둘은 서로가 원래가 하나인 양 생각이 된다. 최초에 하나인 자가 둘로 갈라져서 둘 중 하나를 없애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는 그 무언가가 아닐까도 싶다.
소설 [초대받은 여자]를 쓸 때 보부아르의 심정은 어땠을까? 한편으로는 고통스럽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시원하지 않았을까... 자신의 능력 혹은 성정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을 주인공인 프랑수아즈는 해냈고, 해낼 것이니까 말이다. 그것도 그 자신의 능력과 선택으로 말이다. 보부아르는 유독 글을 쓸 때 그것을 강조하는 듯하다. 자신의 선택, 자기 선택의 능력을 말이다. 아마 철학적 생각을 어릴 때부터 즐겨 하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추구해온 성향상 그녀는 무언가 한 가지를 할 때도 이런 생각을 할 것 같다. 왜 이러지? 이건 뭐지? 왜 안돼? 뭔가 잘못된 거지?... 아... 한마디로 생각이 너무 많다. 그 생각 많음은 자기 자신으로 오는 것일까? 아니면 외부에서 오는 것일까? 보부아르는 끊임없이 그런 유들을 고민하고 실험하고 관찰하는 여성이었다. 절대 한순간도 허투루 살기 싫어하는 사람이랄까? 그러기에 이런 소설도 쓸 수 있었을 것이리라.
프랑수아즈는 그자비에르에게 무언가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자기 스스로 그녀를 선택했고 그녀를 망가뜨렸다고 느낀 것이다. 그러기에 그자비에르는 프랑수아즈 자신의 못 본 척할 수 없는 말썽꾸러기 자식이었던 것이다. 어떻게든 그녀 스스로 낳았으니 그녀가 해결해야 된다. 그것만이 프랑수아즈 자신과 그자비에르를 원래대로 구원할 수 있다고 여긴 것이다.
소설을 읽으면서 깨달은 점이 인간이란 존재가 과연 그렇게 위대한가이다. 보부아르가 실험했던 그 어떤 제약도 없는 삼각연애란 그녀 스스로에게는 치명적인 고통이었다. 과연 이런 실험이 맞는가? 인간에 대한 무한한 긍정이 아니었나? 아니면 실험을 기꺼이 제안하고 응한 그녀 자신 스스로에 대한 자만심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사람은 사람이다. 사람 관계는 이기적이다. 둘의 관계는 오직 둘만이 알 수 있다. 최근 획기적인 가족 실험을 여기저기서 하고 있는 사람들이 눈에 띄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다섯 명의 여성과 사는 한 명의 남성이 있다고 한다. 그것도 아주 평온하게 말이다. 생각할수록 참 희한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그 속을 더 들여다보고 싶기도. 보부아르라면 과연 어떤 말을 해줬을까 궁금하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