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받은 여자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4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강초롱 옮김 / 민음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대받은 여자 1』​​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 강초롱 (옮김) | 민음사 (펴냄)

소설은 꽤 흥미이었다. 유독 시몬 드 보부아르의 자전적인 이야기와도 같은 내용은 흥미를 끌기에 충분했으며 그녀가 생각했던 사랑과 존중의 의미 등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소설 속에 나오는 세 인물 프랑수아즈, 피에르, 그자비에르는 현실 속 인물들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리고 지금도 계속되어가고 있는 사랑과 연애를 둘러싼 모든 모순적인 이야기들의 삼각관계들을 불러일으키게도 한다. 프랑수아즈는 보부아르를 연상시키고 피에르는 샤르트르를 떠올리게 한다. 이 소설이 보부아르의 첫 장편소설임을 짐작하게 할 때 역시 아 그렇구나 하는 수긍도 가는 것이다. 샤르트르와 제자 올가 코사키에비치는 흡사 피에르와 그자비에르를 떠올리게 하니 말이다. 그 삼각관계의 현실적인 삶 속에서 나 홀로 분투하는 자는 프랑수아즈, 즉 보부아르 자신이다. 흡사 자신이 벌어놓은 관계의 판에서 자신 존재의 심판자가 된다고나 할까... 열다섯 살에 철학으로 마음을 굳히고 인간의 내면을 파고든 어린 소녀의 이미지가 여기서 떠올려진다. 그리고 난 왜인지 이 판에서 주인공은 프랑수아즈이고 피에르와 그자비에르는 프랑수아즈의 실험대 상인 것처럼 느껴진다. 그들을 통해서 자신의 의미를 사랑과 존중과 더 나아가 인간의 모든 긍정이든 부정이든 감정에 대한 모든 것을 실험하려고 애쓰는 철학자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 시절 사랑의 이해라고나 할까...

초대받은 여자로 일컬어지는 그자비에르는 프랑수아즈 본인이 데려온 여자이다. 유독 마음을 써가면서 말이다. 아마도 그녀의 저돌적인 성질에 끌렸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가지고 있지 못한 불도저 같은 매력에 오히려 피에르보다도 먼저 빠진 것은 아니었을까... 그리하여 결국 피에르와 그자비에르의 관계를 방관하는 처지를 초래한 것일 수도...

여기서 한 가지 궁금한 점은 과연 프랑수아즈가 결국 깨달았던 사랑의 이해는 무엇이었을까이다. 프랑수아즈가 피에르를 사랑하고 존경하는 것은 명백해 보인다. 하지만 왜 그녀는 인간의 감정이 변덕스럽고 이기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을까? 그로 인해 그녀 자신이 고통스러울 거라는 것도... 어쩌면 그녀는 그 고통 역시 고통이라고 여기지 않을 것이다. 끝까지 이해해 보려 했을 듯하다.

아... 피에르와 그자비에르는 사랑이란 것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 사랑에 대한 축복을 프랑수아즈에게 강요한다. 결국 프랑수아즈에게 남은 것은 선택뿐이다. 그리고 그녀 자신 스스로를 다시 들여다보는 것... 그녀의 마음을 말이다. 어쩌면 그녀 마음의 거울은 피에르와 그자비에르가 이미 비치고 있을 지도 모른다. 2편으로 넘어가 보자.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