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곳에서 온 언어
미즈바야시 아키라 지음, 윤정임 옮김 / 1984Books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곳에서 온 언어』​​

미즈바야시 아키라 (지음) | 윤정임 (옮김) | 1984북스 (펴냄)

두 언어로 생활하고 말하고 생각하는 사람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예전에 누구에게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두 가지 언어로 말하는 사람은 마음 길도 두 개라고 말이다. 그래서 믿을 수 없다는 말이었다. 처음에 그 말을 들었을 때는 잘 이해하지 못했다. 어떻게 마음이 두 개란 말인지... 그럼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는 것은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라는 건지... 하지만 지금은 이렇게 느낀다. 전자는 맞았고, 후자는 달랐다.

저자인 아키라는 스스로 모국어의 굴레에서 탈출했다. 자신의 언어를 프랑스어로 규정하고 그 속에 자유를 느꼈다. 유년의 언어는 일본어였고, 그 언어를 사용할 때도 있지만 내면의 언어를 프랑스어로 규정했다. 왜 하필 프랑스어였을까? 아마 아버지로부터의 영향이었으니라.. 한국어라면? 영어라면? 이탈리아어라면? 어떤 사고를 가지게 되었을까? 하지만 작가에게는 탐험할 부계의 언어가 존재했다. 유년시절의 삶, 일본어로 된 세상에서 느껴진 언어의 인플레, 언어의 질병... 그 안에서 저자는 입을 닫아버린다. 자신의 사유의 언어는 더 이상 일본어가 아니었다.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각을 담는 언어로서 존재... 그것은 다른 곳에서 온 언어였다.

생각은 언어를 통해 오는가? 아니면 언어가 생각을 통해 오는가? 아키라는 여러모로 다와다 요코를 떠올리게 한다. 요코 역시 이중언어 작가이다. 그녀의 삶은 1979년 시베리아 횡단열차로 독일에 가는 경험을 한 후 바뀐다. 대학 졸업 후 요코는 독일로 이주해서 그곳에서 독일어로 글을 쓰면서 생활하고 있다. 생각을 담는 언어가 바뀌면 새로운 눈을 가질 수 있다. 사물이 다른 식으로 보이는 것이다. 아키라와 요코 모두는 그 경험을 했고, 스스로 생각을 담는 다른 언어를 선택한 것이다.

작가를 소개하는 글에서 아키라는 어떻게 말해야 좋을까?를 고민하는 작가라고 한 대목을 읽었다. 정확하게 또 명확하게 말하기 위해 언어를 고르는 것이다. 낯선 프랑스어를 자신의 내면의 언어로 선택한 작가이니 말 한마디, 한마디 할 때 신중하게 고르고 또 고르는 것이리라... 어떻게 담아야 할지.. 생각을 고르는 것... 언어에서 오는 생각일까? 아니면 생각에서 오는 언어일까?

말을 할 때는 세 가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한다. 첫째는 이 말이 옳은 말인가? 둘째는 꼭 해야 할 말인가? 셋째는 친절한 말인가? 쏟아지는 말들에서는 아름다움을 느낄 수 없다. 생각의 가치를 알 수 없다. 말을 하기 위한 생각인지, 생각을 위한 말인지 도대체 감응이 안된다. 아마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이들은 다 느낄 것이다. 말의 홍수, 말의 인플레, 말의 말 등등

자아로부터 멀어지게 만드는 말이 아니라 자아로 근접하는 언어를 갖자. 주눅 들고 보수적인 주입식 말이 아니라 경탄의 훈련을 하는 언어를 갖자. 그리고 생각하자. 어떻게 말해야 좋을지를 말이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