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루스의 교육』
크세노폰 (지음) |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펴냄)
오랜만에 재미있는 고전을 읽었다. 크세노폰이 쓴 키루스 대왕의 일대기... 흡사 영웅담스러운 이야기 같지만 제목을 또 교육으로 해놓은 것 역시 범상치가 않은 느낌이다.
크세노폰은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이자 철학자로 소크라테스의 제자 중 한 명이었다. 그런 그가 고국을 떠나서 용병으로 페르시아 내전에 참전하게 된다. 그로 인해 적국 스파르타의 동맹국 페르시아에서 용병대장으로 활동했다는 이유로 고향인 아테네에서 영원히 추방된다. 그는 스파르타에서 여생을 보내게 된다. 그럼으로 아마 그에게는 어떤 통찰력이라는 것이 생긴 것 같다. 고향을 몹시도 그리워했지만 그 그리움이 감정적인 차원을 넘어서서 보다 더 나은 내일이 되고자 하는 고민이 있을 것 같다. 그런 이유에서 아마 이 책 [키루스의 교육]이 탄생했을 것이다.
크세노폰이 살았던 그 시절 그리스는 한 도시가 하나의 국가로 기능을 했다. 그만큼 하나의 국가 안에는 수많은 도시국가들이 존재했다. 그래서인지 이런저런 정치체제를 실험하고 창조할 수 있었다. 민주정이란 국민에게 주권이 있는 국가이고, 왕에게 주권이 있는 국가는 왕정, 소수의 유력자에게 주권이 있다면 과두정, 한 사람의 독재자인 참주에게 있는 국가는 참주정이다. 그 시절 고대 그리스는 여러 정치체제를 실험함으로 더 나은 것을 발휘하고자 하는 권력의 터전이었다. 크세노폰은 이때 키루스를 불러온다. 과연 키루스 대왕은 어떤 교육을 받고 어떤 삶을 살아왔길래 수많은 이교도인들이 그를 섬겼으며, 또한 언어도 안 통하는 사람들 역시 키루스를 섬기면서 그에게 복종을 했을까? 어떻게 키루스는 자신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 수만리 떨어진 곳에서도 그의 통치력을 발휘할 수 있었을까?
크세노폰은 이 책에서 자신의 탐구 대상 키루스를 소년 시절부터 그려나간다.
소년 시절 키루스는 말이 많은 아이였다고 한다. 키루스가 말이 많았던 까닭은 그 시절은 무엇이든지 결정을 하거나 자신의 견해를 내비치면 거기에 걸맞은 이유를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야망이 컸던 키루스는 아마도 배우고자는 열망으로 질문하고 또 질문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기 위해 많은 생각을 하고, 거기에 걸맞은 말들을 고르고 추렸을 터였다.
메디아 왕국에서 머물며 외할아버지인 아스티아게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후에 자신의 외삼촌인 키악사레스와 함께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멸망시킨 키루스, 마지막에는 아시리아의 왕인 벨샤자르를 죽이고 바빌론 성을 점령하여 바빌론 성안에 있는 왕궁에서 제국을 다스린다. 그 후 안샨 왕국에서 숨을 거두게 된다. 키루스 덕분에 바빌론에서 해방된 유대인들은 이교도의 왕인 그를 여호와의 목자라고 칭송하기까지 했다니 실로 대단한 인물이 아닐 수 없다. 왜 크세노폰이 키루스에 관한 글을 쓸 수밖에 없었는지...... .
키루스 대왕을 보면서 참된 리더가 꼭 지녀야 할 자질과 덕목들을 배운다. 군주는 너그러워야 하되 칼 같은 면은 있어야 한다. 정의라고 하는 것이 이리저리 흔들리면 안 되는 것이다. 키루스는 공정하게 정의를 실천했고, 자발적인 복종을 이끌어낸 반면 절제하는 면도 보였다. 아마 그의 민중의 모범됨이 사람들을 하나로 모았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식민지 해방 후에 이런 인물을 지도자로 뽑고 그 인물이 나라를 이끌었다면 어땠을까? 역사는 다시 되돌릴 수 없지만 지나간 것에는 항상 아쉬움이 남는 법이다. 아직 청산이 안된 친일파의 역사는 이제는 무섭기까지 하다. 그 뿌리가 아직까지 한 나라를 뒤흔들 수 있다니... 세대가 바뀌었어도 생각은 여전히 머물러있는 느낌이 든다. 영화 자산어보를 보면 정약전의 말이 나온다. 주자는 힘이 세다... 왜 정약전이 그 시절 주자가 힘이 세다고 했는지 알만하다. 지금 이 시대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자들을 보면 말이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