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디프, 바이 더 시 - 조이스 캐럴 오츠의 4가지 고딕 서스펜스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이은선 옮김 / 하빌리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디프, 바이 더 시』​​

조이스 캐럴 오츠 (지음) | 이은선 (옮김) | 하빌리스 (펴냄)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란 과연 얼마나 인간을 옥죄고 있는가? 사람의 인생이란 어쩌면 태어나는 순간, 그 평생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 같다. 그 평생의 운명은 바로 어린 시절에 있다. 어떤 어린 시절을 보내는가에 따라서 그 사람의 평생이 결정지어진다니... 십 년, 길면 십오 년의 인생, 첫 인생만 행복하게, 그 어느 것도 걸림돌이 될 것도 없이 보낸다면, 그러한 행복한 유년의 기억을 가진 아이들이 세상에 많아진다면 아마도 이 지구는 그 모습을 달리하리라... 멸망의 초침을 향해가는 시계가 아닌 상생의 희망을 향해가는 새로운 시계를 인류는 거머질 수 있으리라...... .

조이스 캐럴 오츠는 그녀의 섬뜩하리만큼 오싹한 단편들 속에 인간의 기본적으로 잠들어있는 끔찍한 본성들을 깨우고 있다. 그리고 그 본성들은 거의 대부분은 어린 시절에 잉태된 트라우마에 기반을 한다.

소설 [카디프, 바이 더 시]의 주인공 클레어는 자신의 정체성을 단 세 글자로 설명한다. 바로 입양아라는 단 한 단어이다. 어린 시절의 일들이 몹시도 궁금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고 싶었고, 자신의 친부모에 대해서 몹시도 궁금했지만 어찌 된 일인지 그녀는 모든 기억을 지우고 살아간다. 후에 그녀에게 이름 모일 유산을 남겼다는 전화가 오기 전까지는 말이다. 9개월이면 너무도 어린 나이에 사이들 내외에 입양되어서 클레어 사이들로 살았던 그녀... 사이들이라는 성을 받은 그녀는 너무도 좋았더라고 했다. 새로운 이름의 새로운 시작... 과거에 있었던 일들이 뭐든 끔찍한 기억은 저절로 뇌에서 삭제해버렸다. 그래야 그녀가 살 수가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전화 한 통, 카디프의 저택을 물려받았다는 전화 한 통은 그녀에게 옛 기억을 되찾게 했다. 그럴 용기를 준 것이다. 이름도 몰랐고, 존재도 몰랐던 모드 도니걸이라는 이름의 친할머니, 그리고 이모할머니들... 삼촌이라는 제러드...... . 과연 애인보다도 그 수가 적었던 친척이라는 존재는 그녀에게 어떤 기억을, 어떤 트라우마를 몰고 올 것인가?

끔찍한 친족 살해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도 한 클레어의 과거사... 그리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억울하게 가해자로 몰린 아버지인 코너 도니걸에 대해 진실 탐구... 고작 9개월의 아이였던 클레어는 개수대 아래 문 쪽 공간, 고양이가 겨우 들어갈 법한 거미줄 투성이 공간에서 발견되었다. 아니, 살아남았다. 모두가 죽은 그 현장에서 말이다. 과연 범인은 누구였을까? 신문 등지에서는 아버지인 코너 도니 걸을 지목했지만 클레어의 기억 속에는 아니었다. 범인은 분명 따로 있었다. 그리고 버젓이 아직도 잘 살아있다.

캐럴 오츠는 신의 존재에 대해 가타부타 이야기하지 않고 오로지 인간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아이가 신을 찾을 때 신은 결코 곁에 있어주는 법이 없다. 모든 사건이 일어난 후에야 나타나는 지각생이 바로 신이라는 이름이다. 그렇다면 과연 왜 신을 믿고 찾아야 하는가? 절박한 순간, 인간이 필요로 하는 순간 나타나는 존재가 바로 신의 위엄이 극대화되는 순간이 아니던가? 캐럴 오츠는 일상을 적나라하게 하게 그녀의 언어로 보여준다. 소설을 읽다 보면 왜 그녀가 에드거 앨런 포의 여성형이라고 할 만한지 알 수 있다. 모든 것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있지만 사실 인간의 이야기다. 그러기에 읽는 내내 긴장할 수밖에 없다.

더 늦기 전, 특히 올여름에 조이스 캐럴 오츠를 만나게 된 것이 무척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