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슬픔의 거울 오르부아르 3부작 3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슬픔의 거울』​​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펴냄)

소설은 첫 장면부터 매혹적인 상황으로 독자를 이끈다. 만일 당신이 알몸을 보여주는 것만으로 만 프랑, 우리나라 돈으로 천오백만 원 정도 누군가에 의해 주워지는 제안을 받았다면 어찌할 것인가? 그저 보는 것만으로 말이다. 그깟 돈 없으면 그만, 벌면 되지 하겠지만... 소시민에게 그런 제안은 솔깃하기 마련이다. 루이즈가 굳이 누드모델의 지인을 예를 들지 않아도 그것은 한 번의 모델이 되어주면 그뿐인 것이었다. 하지만 과연 그것뿐이었을까? 가엾은 루이즈는 단골손님이었던 의사 티리옹을 그만 믿어버렸다. 그의 의도를 알지 못한 채 말이다. 덕분에 그녀는 피투성이가 되어서 알몸으로 호텔을 뛰쳐나올 수밖에 없었고, 티리옹은 반쪽 얼굴이 날아간 채 호텔 객실 바닥을 어지럽혔다. 후에 둘의 관계의 비밀이 밝혀지지만 초반에 읽어서는 도대체 티리옹을 이해할 수 없었다. 왜 아무것도 모르는 순진한 루이스 앞에서 그런 결정을 내려야 했는지... 자신이 그런 결정을 한 이후 루이스가 맞닥뜨려야 할 고통에 대해서는 왜 생각할 수 없었는지 말이다.

소설은 여러 가지 인물들의 시선에 의해 구성된다. 루이스의 시점이 있고, 우연히 탈영병으로 인연을 맺게 된 전혀 성향이 다른 가브리엘과 라울 병장에 의한 시점 및 페르낭의 비밀스러운 일에 관련된 것, 마지막으로 공보국에서 가짜 뉴스를 사람들의 입맛대로 주무르고 퍼나르는 데지레의 시점에서 이루어져 있다. 모두들 전쟁의 참상들이 만들어낸 인간 군상의 모습들이다. 각기 다른 위치에서 시작되지만 소설 중후반부터 이들이 하나로 모아지는 장면은 소설의 백미 중의 백미였다.

이 글에서 놀라운 부분은 전쟁통에서 천여 명이나 되는 죄수들을 이동시킨 일이 바로 실화라는 점이다. 바로 [수감자 집단 이감]이라는 에피소드가 실제 일어난 일이다. 하지만 반란, 탈출 시도, 행군 거부의 죄목 등으로 죄수들은 사살되었고, 파리를 출발할 때는 1865명이었던 수감자 중 귀르스 기지에 도착한 인원은 무려 43프로에 달하는 845명이 빠져있었다는 점이다. 그 많은 죄수들은 과연 어디로 간 것일까? 여기서 한 가지 더하자면 라디오 방송에서 데지레가 전하는 소식은 물론 대국민 선동 가짜 뉴스였지만 간혹 상당수가 괴상하게 느껴진 실제 사건들이라는 점 역시 놀라운 점이다.

루이즈의 임신에 대한 갈망 부분을 묘사한 대목은 왠지 계속 되짚어보게 된다. 루이즈는 임신을 하지 못한다면 결혼이 의미 없다고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원하지만 그 사람의 아이를 갖지 못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잠자리도 서슴치 않는다. 단, 이것은 그저 임신하기 위한 성행위에 불과할 뿐이다. 마지막 루이즈가 자신의 나팔관 이상을 알고 더 이상 남자와 관계하지 않고, 스스로의 여성성을 부각시키지 않으려고 머리를 짧게 깎은 부분들... (아이러니하게도 짧은 머리는 루이즈의 외모를 오히려 더 빛나게 해주었지만) 이러한 루이즈를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화두들이 있다. 아이를 낳지 않고 산다면 왜 결혼을 하는 걸까? 그냥 그저 둘이 살아도 좋지 않으려나... 결혼으로 필연적으로 주어지는 인간관계를 받아들이고 싶지않다면 그냥 사는 것으로, 보다 법적인 구속력으로 가지고 인간관계까지 받아들이기를 원한다면 결혼제도를 택하는 것도 있겠다. 더 나아가 과연 결혼이란 무엇일까? 하는 것까지도 생각은 뻗어 나간다. (과연 무엇일까? 현대 사회의 가족제도에 대한 생각까지... 아, 머리가 복잡해지는군)

이 소설은 두 차례 세계대전 사이를 그린 3부작 중 하나라고 한다. [우리 슬픔의 거울]을 통해서 피에르 르메트르를 알았다. 그를 알고 나니 그의 나머지 두 소설 역시 궁금해진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