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바야가의 밤 - 각성하는 시스터후드 첩혈쌍녀
오타니 아키라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바야가의 밤

각성하는 시스터후드 |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역시 재미있다. 이것이 바로 장르소설의 힘일까? 주인공부터가 색다른 소설이다. 첩혈쌍녀 시리즈 중 하나로 구성된 [바바야가의 밤]... 앞으로 편집자는 10권만 만들고 끝장을 볼 생각이라는 데 독자로서 뭔가 아쉬워진다. 재잘거리면서 사건을 해결하는 두 여자라는 의미의 첩혈쌍녀... 이처럼 통쾌하고, 인정사정 봐주지 않는 시원한 쾌감을 더 좀 더 알고 싶은데 말이다.

흔히들 여성이 강해지려면 이유가 필요했다. 여자는 약하지만 엄마는 강하는 둥, 아이 잃은 여성의 뜨거운 모성애라는 둥, 왜 여성이 강해지려면 이유가 있어야 할까? 그저 그 자체로 강할 수는 없는 걸까? 그저 있는 대로 당당함으로 무장하고 강함 그 자체를 위해, 그것을 유일한 목적으로 존재할 수는 없는 것일까?

소위 이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인 신도는 무도를 배우지 않았다. 그녀의 할아버지는 오직 강함을 위해 손녀를 훈련시켰다. 싸움 그 자체의 희열을 신도에게 가르쳐주었다. 할아버지는 이런 말을 한다. 무도에 들어서면 평생 싸움을 할 수 없다고 말이다. 예의와 격식에서 의미를 찾는 쇼코와는 달리 신도는 자유로움, 그 자체를 느낀다. 야쿠자가 모여있는 집합소를 합법적으로 자신의 폭력성을 발산할 수 있는 놀이터로 생각하는 신도이다.

소설 속에는 신도가 어쩌다 할아버지로부터 그런 무지막지한 수련을 받게 되었는지, 그 부모가 누구인지는 나와있지 않다. 그리고 악인으로 묘사되는 쇼코의 아버지 나이키가 그토록 찾고자 했던 그 부인과 정부의 모습 또한 떡밥으로 던져졌을 뿐 소설 속에서는 여타의 언급이 없다. 그저 독자 스스로 상상할 뿐이다. 나이키 자신과 그가 딸 쇼코의 사위로 점찍어둔 우타가와는 그저 악의 최고 선두일 뿐이다. 악 그 자체의 악 말이다. 거기에는 어떤 이유도 없다. 신도가 그저 강함과 폭력만을 쾌감으로 삼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소설을 읽으면서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신도와 그녀를 일명 스카우트한 야나기와의 케미스트리이다. 사실상 읽으면서 그 둘을 응원한 독자였는데...ㅎㅎ 마지막에 신도와 쇼코가 그들만의 길을 가도록 야나기가 모른 척해주지만 왜 신도와 쇼코는 야나기의 도움을 받지 않았을까? 그 오랜 시간 그 둘 몰래 숨어살아갈 것을 생각하면 몹시 외롭지 않았을까? 아마 야나기의 도움을 받아도 마찬가지였겠지만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신도와 쇼코가 야나기의 도움을 거절한 것은 지금 생각해도 잘한 일이다. 어쨌건 신도는 송곳니가 없는 쇼코의 갑옷을 벗겨낸 장본인이었으니까 그녀의 갑옷이 될 결심을 한 것같다.

마지막에 신도는 정말로 바바야가 마귀할멈이 되었을까? 궁금해진다. 강하고 사람들이 무서워하는 마귀할멈이지만 착하고 친절한 여자애의 간절한 부탁을 외면하지 않는 지유로운 할머니...... . 그러나 신도에게 쇼코가 없다면, 그리고 쇼코에게 신도가 없다면 마귀할멈으로 산들 그다지 재미있지는 않을 것 같다.

마귀할멈으로 살기에 신도는 강하지만 착했다. 신도가 되려 했던 바바야가의 마귀할멈도 결국은 개와 착한 소녀를 좋아하는 존재였던 것이다. 악인은 그저 악으로만 존재한다. 하지만 선의 모습은 참으로 다양하다. 선을 위한 폭력은 과연 정당한가? 그저 통쾌하게 끝나는 장르 소설만이 아니었다. 생각할 거리가 많은 이야기이다. 응원한다. 첩혈쌍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