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샤 ㅣ 페이지터너스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지음, 정영문 옮김 / 빛소굴 / 2022년 12월
평점 :
쇼샤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지음 | 정영문 옮김 | 빛소굴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가 스스로의 글 중 가장 좋아한 작품이라고 알려진 [쇼사]... 책을 보니 알 것 같다. 왜 작가가 이토록 이 작품을 아꼈는지는 말이다. 평소 유대인들의 문화적 전통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 속에서 인류의 보편적인 뭔가를 발견하려고 한 작가... 하지만 홀로코스트 속 유대인들에게 과연 신이 있었는가? 저자는 고통 속에는 신의 얼굴은 없다고 한다. 그리고 고통을 당하는 사람에게 그 답은 어디에도 없다고 말한다. 고통에 경중이 있겠는가? 얼토당토않은 고통을 당할 만큼 이유 있는 그 무엇은 존재하지 않는다. 답은 어디에도 없다. 특히 고통에 대한 답과 그 이유는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 즐겨보는 유튜브에서 작가이자 물리학자인 김상욱 교수가 한 말이 인상 깊었다. 우주에는 죽음으로 가득 차 있고, 어찌 보면 살아있는 것 자체가 이상한 것이라는 것이다. 맞다.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 죽음을 느끼고 태어난다. 태어남은 고통이다. 최근 시각장애가 있는 4살 딸아이를 때려서 사망케한 친모 사건이 있었다. 그 4살 아이의 잘못은 무엇인가? 태어난 것이 잘못인가? 왜 그 고통은 경중을 가리고 않고, 사람을 가리지 않고 오는가? 고통은 그만큼 답이 없는 것이다.
저자 싱어의 모습이 소설 속 주인공인 아론 그라딩거에 대입해서 보인다. 많은 유혹적인 삶에도 불구하고 그는 쇼사를 선택한다. 외적으로도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여자인 쇼사를 말이다. 그에게는 전부터 사귄 공산주의자인 도라도 있었고, 그에게 끊임없이 추파를 던지는 중년의 여성인 셀리아도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베티와의 결혼을 앞두고 있었던 아론이건만 그는 쇼샤를 선택했다.
쇼샤는 그에게 누구였을까? 그것은 바로 순수의 결정체이자 훼손되지 않을 결정이었다. 아마 그는 그 결정을 지키고자 했을 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가 쇼샤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쇼샤가 그를 선택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담대하게 고통을 받아들이기로 한 그들... 그래, 고통에는 이유가 없다. 어쩌면 그렇기에 고통만이 가장 순수한 것일지도 모른다.
아이작 싱어는 살아남은 것을 부끄러워했을까? 많은 유대인들이 이유도 모른 채 죽어갈 때 그는 그랬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끊임없이 하나님을 원망했다. 내 형제들이 고통받고 있을 때 우리의 하나님, 유대인의 하나님이신 당신은 과연 어디에 계셨는지... 그는 끊임없이 찾고 반문한다. 하지만 답은 없다. 어쩌면 오지 않을 답을 알면서도 외치는 것이리라...... . 아이작 싱어가 랍비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랐음에도 모든 종류의 유대교 예배를 거부한 것은 아마도 이런 배경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는 언제나 자신의 뿌리를 잊지 않은 삶을 살았다. 유대인 공동체와의 접점을 계속 이어나가며 자신의 민족과 형제들을 사랑했다. 아마 쇼샤는 바로 작가에게나 주인공인 아론에게 그런 존재가 아니었을까? 그 시절 신에게 보호받지 못하고 죽어가는 모든 존재의 대표자로 쇼샤를 내세운 것이리라..... . 쇼사를 선택하고, 떠나지 않음으로 그는 신이 할 일을 대신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렇게라도 답을 찾았을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