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시대를 기억하다 - 사회적 아픔 너머 희망의 다크 투어리즘
김명식 지음 / 뜨인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간, 시대를 기억하다

사회적 아픔 너무 희망의 다크 투어리즘 | 김명식 지음 | 뜨인돌

여행하면 어떤 여행이 떠오르는가? 나는 항상 여행이 이상했다. 쉬러 간다고 하면서 여행 후가 더 피곤한 느낌, 아마도 많이 경험해 봤을 것이다. 여기 왔으니, 저기도 가봐야 하고, 여기까지 왔으니 이것도 먹어보고, 저것도 먹어보고, 또 주말이 끼면 숙박비는 어떠한가? 요즘은 호텔이니 펜션이니 독박 풀빌라니... 너무도 많은 옵션이 있고, 게다가 값은 비싸다. 한번 여행이란 것을 갈라치면 각오를 해야 한다. 왜 그래야 할까? 여행은 떠남이다. 낯설게 하기다. 우리 주변에서 우리를 낯설게 하는 것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도 또한 여행이 아닐까? 그리고 여행이 꼭 먹으러 가고, 좋은 경치를 보러 가야 하는가? 사진을 남기러 떠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 사진조차도 핸드폰 사진첩에 남아서 언제고 사라질 텐데 말이다.

현대는 새로운 여행법이 필요하다. 최근에 텔레비전에서 다크 투어에 대해 나오는 것을 보았다. 처음에는 생소했다. 왜 다크란 말에 투어를 붙이는 것일까? 혹여 거기에 희생된 사람들의 유족들은 자신들이 괴로웠던 공간 그 자체가 여행지처럼 느껴지는 것에 반감을 갖는 것은 아닐까? 하지만 그것이 아니었다. 기존의 여행지에서 벗어나서 우리가 참혹한 참상이 벌어졌던 역사적 현장이나 재해의 현장을 돌아봄으로써 그것을 기억하는 것, 바로 그 기억이 유족이 그리고 희생자들이 바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크 투어리즘을 부르는 다른 말로는 블랙 투어리즘 혹은 그리프 투어리즘이 있다고 한다. 국립국어원에서 역사교훈 여행이라 지칭하고 있고 말이다. 그래서인지 재난 현장이나 참혹한 역사적 현장을 둘러보는 일은 경건하게 여겨진다. 들뜬 마음이 가라앉는다. 여행이라고 해서 꼭 들뜰 필요는 없다. 이런저런 순간들이 여행의 묘미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아직까지 팽목항을 가보지 못했다. 어떤 곳은 시간과 용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아직 그 사건은 현재도 진행형이니... 또 우리는 얼마 전에 그런 공간을 또 얻게 되지 않았던가... 이태원... 이제 이태원 세 글자는 더 이상 외국인 거리나 힙한 거리가 아닌 많은 젊은이들이 압사당한 참혹한 공간의 이름으로 기억될 것같다.

책 속에 나온 공간 중 인상 깊은 곳이 바로 서소문 성지 역사박물관과 지상의 서소문 역사 공원이다. 그곳에 노숙인 예수라는 작품이 있다고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바티칸 인근에서 얼어 죽은 노숙인을 기리기 위해 그의 작품에 직접 축복하고 교황청에 설치한 작품이다. 이미 여러 나라에 설치가 되었다고 한다.

벤치에 노숙인이 누워있다. 그는 머리 위까지 무언가를 뒤집어쓰고 있는데 유독 발만 나와있다. 그 발 한가운데 보이는 상흔... 예수님의 십자가 상흔을 연상케한다. 성경 마태 복음에 이런 구절이 있다. 너희가 여기 내 형제 가운데 지극히 보잘것없는 사람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거라고 말이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그 노숙인 예수가 놓여있는 벤치 주변에 실제 노숙인이 있는 현실 역시 존재하는 것...

가고 싶은 여행지가 너무 많이 생겼다. 무슨 무슨 관광지가 아니라, 제주도 4.3 평화공원 내에 있는 비설, 오림 터널공원, 매헌 시민의 숲, 그루네발트역 17번 선로, 분서 기념 도서관 등 등 아...... . 이제 잊지 않고 기억하리라... 머리가 기억하지 못한다면 발이 기억하도록 애쓰리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