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다 칼로, 붓으로 전하는 위로
서정욱 지음 / 온더페이지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리다 칼로, 붓으로 전하는 위로

서정욱 지음 | 온더페이지

프리다 칼로의 그림들을 한 장 한 장 찬찬히 보고 있으려니 가슴이 아프다. 그 그림들은 그녀의 아픔을 말하고 있지만 반대로 그녀의 생명을 말하고 있는 것 같아서이다. 프리다에게 그림이란 과연 무슨 의미였을까? 아마 의미 같은 것, 그런 것들을 찾는 것이 사치이지 않았을까? 그림은 바로 그녀 그 자신이었으므로 말이다.

10대 시절 그녀에게 찾아온 큰 시련은 프리다 칼로를 말하는 하나의 키워드이기도 하다. 그녀의 그림 속 자화상들이 바로 그 사건을 떠올리게 하니까 말이다. 전차 사고로 인해 그녀는 가슴에서부터 골반뼈로 쇠가 관통하는 치명상을 입게 되었다. 그리고 그녀 곁에 있던 한 사람, 바로 친구 알레한드로... 원래 그는 사고의 그 버스를 타지 않고 다른 버스를 탔다고 한다. 먼저 온 버스를 타고 있었는데, 칼로가 양산을 놓고 오는 바람에 내렸다가 다시 타게 된 거라 하니 아마 사고는 어떤 운명이 아니었을까? 아마 프리다는 그 일로 인해 알레한드로가 스스로의 운명과 엮이게 되었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녀는 1928년에 그녀 나이 21살 때 바로 그 사람을 그린다. 그의 그림을 보고 있자니 묘하게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바로 프리다 칼로 그녀 자신이다. 어쩌면 그녀는 알레한드로를 그녀와 비슷하게 그림으로써 그 둘의 운명이 한곳에 있음을 표현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칼로는 이 그림을 완성한 후에 다시 숨겼다고 한다. 그리고 그녀가 45살이 되던 해 작품을 꺼내 새로운 서명을 했다. 영원한 친구의 모습을 사랑을 다해 그렸다고 말이다.

또 하나의 사건이라면 아마 디에고와의 만남이리라... 디에고와의 만남이 그녀에게 축복이었는지 저주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녀 스스로는 축복으로 여겼음이 틀림이 없다. 그녀는 그를 너무도 뜨겁게 사랑했으므로... 물론 그 둘의 사랑을 지켜보는 제3자들은 불안 불안했지만 말이다. 결국 디에고의 바람기는 그녀의 동생에게까지 손을 뻗게 되고 그 둘의 관계에 충격을 받은 프리다는 미국으로 간다. 하지만 이때에도 디에고를 잊지 못한다. 정말... 왜..라고 되묻고 싶을 만큼... 이 정도 상처받았으면 이제 그를 놓아줄 만도 하건만... 결국 1939년 그녀는 디에고와 이혼을 하게 된다. 이 시기 이후로 다른 분위기의 화풍이 펼쳐진다. 어느 정도 자유로운 모습이 엿보이기도 하고 훨씬 더 주목받는 작품들은 내놓게 된다.

다시 생각해 보니 디에고란 인물은 프리다 그녀 스스로가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떤 짓을 해도 용서받고 사랑받을 수 있는 인간의 전형을 프리다 칼로는 잉태한 것이다. 그리고 세상에 내보내서 온 힘을 다해 껴안았다. 비록 그녀 자신이 그의 가시 돋친 피부에 상처 입을지언정...

책 말미에 실린 그녀와 마르크스주의와의 관계 조명에 대한 내용 역시 흥미로웠다. 마르크스주의의 위대함이 병자까지 건강하게 할 만큼 대단한 것이라는 그녀의 작품... 이로써 또 한 권의 책에 흥미가 생겼다. 좀처럼 손이 가지 않던 자본론이 갑자기 프리다로 인해 흥미로워 보이기 시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