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 - 소설처럼 읽는 고대 그리스 생활사
필립 마티작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

필립 마티작 지음 | 우진하 옮김 | 타인의 사유

익숙한 세상에서 벗어나는 일은 모두가 꿈꾸기도 하고, 상상만으로도 설레는 일이기도하다. 사실상 여행이 그러하다. 단출한 짐만으로 떠나는 여행... 길을 나선 순간 세상은 낯설어지고, 그 낯설음 자체가 두렵기도 하지만 두려움을 넘어서는 설레임...아마 그런 것들 때문에 사람들은 기꺼이 낯설어지기를 감행하고 여행을 떠나는 것이리라...

하지만 그 여행길... 좋은 기억만 있으면 좋겠지만 사실상 그렇지 않은 경험도 많다. 사람들은 기억을 미화시키니 아마 나쁜 경험은 축소하고, 좋은 경험은 드러내기에 여행이란 아마도 좋은 측면, 긍정적인 측면이 부각되는 면이 있다. 여행 생활자... 요즘 들어 이런 타이틀을 지닌 유튜버들이 많이 보인다. 일찍이 경제적으로 독립을 이룬 후 세계 각국을 떠돌면서 살아가는 이들...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렇지 않기도 하다. 아마도 생활이라는 것... 떠남도 어찌보면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일상이라는 것을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여행을 떠나도 우리는 먹어야하고, 잘 곳을 찾아야한다. 그 여행지에도 사람이 산다. 여행자에게는 그곳이 신기한, 낯설은 여행지겠지만 그곳에 사는 이들에게는 매일 매일 마주해야하는 터전이다. 그렇다. 여행도 그냥 삶이다. 일상이다. 여기에 또 하나의 일상을 추가한다. 바로 우리가 염원하지만 갈 수없는, 지난 시간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로의 여행....

어떤 신비로운 것을 기대하겠지만... 사실 마음 깊은 곳에서는 이미 알고 있다. 이 시대 또한 사람이 살았으며 사람이 사는 모습들은 다 비슷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 하는 고민들을 그 당시에도 했었고, 먹고 사는 것, 정치에 대한 것, 체력 단련에 대한 것, 또 결혼과 같은 중대사... 모두 다 비슷하다. 그리고 그런 모습 속에서 우리는 위로 아닌 위로를 얻는다.

고대 그리스에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복잡했다고 한다. 현재처럼 표준시가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시점에 맞추어 시간이 차곡 차곡 쌓여가는 것이 아니라 그 당시에는 특별한 지도자가 등장하거나, 전설적인 사건이 일어난 해를 기준으로 각기 다르게 연도를 계산했다. 연도는 숫자가 아니라 국왕이나 당시 지배자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지역마다 달랐다. 거기다가 열두 달의 길이가 각기 다르고 유동적이였다니... 지역 행정의 책임가들은 그 달의 일정이 빡빡하다고 생각되면 나름 달의 길이를 늘리기도 했다고 한다. 이 얼마나 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태도인가... 재미있는 부분이다.

또한 책 속에서 자식의 혼사를 걱정하는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자식이 하도 고집이 세고 말을 안들어서 상대 처녀가 임신을 할 수 있을만한 건강상태이고, 자신의 아들을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무슨 도적의 딸이라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한탄하는 대목이 나온다. 역시 어머니는 어머니이다. 그 당시에도 자식 문제는 중요하고 또 부모에게 있어서는 골칫거리였나보다. 다른 한가지 더 흥미로운 부분은 그 당시 존재했던 크세니아라는 관계였다. 피가 섞인 관계는 아니지만 필요할 경우 서로를 돌봐주는 전통적인 관계라고 하는 크세니아는 당시 중요한 대인관계 수단이었던 것같다. 크세니아로 이어진 사람들은 크세노스라고 불리고 이는 평소에도 유용하고 혼인할때 역시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로의 떠나는 여행길... 이런 여행길은 위험하지도 않고, 흥미롭기까지 하다. 거기다 그 당시의 모습상을 통해서 오늘날의 지혜를 배우기도 하고 말이다. 다음엔 어디로 여행을 가볼까나.... 고대 이집트로...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