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뷔히너 전집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47
게오르그 뷔히너 지음, 박종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805/pimg_7728831353510938.jpg)
뷔히너 전집
게오르크 뷔히너 지음 | 박종대 옮김 | 열린책들
이념이란 무엇인가? 변하지않는 신념이란 과연 존재하는 것일까? 1813년에 태어나 단 네편의 작품을 남기고 세상을 떠난 천재작가 게오르크... 그의 작품 속의 사람들, 신념의 사람들을 통해 현 시대를 돌아볼 수 있다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고도 반가운 일이다. 독일에서는 그를 기려서 그의 이름을 딴 문학상도 있다고하니, 작가라는 것은 작품 수에 비례해서 유명해지는 것은 아닌가보다.
게오르크의 작품 중 단연코 백미는 [딩통의 죽음]이라 할것이다. 18세기를 관통한 프랑스 혁명의 시기를 말하는 희곡은 딩통과 로베스 피에로의 갈등을 정면으로 보여주면서 그들의 인간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과연 혁명이란 사람들에 의해서 이뤄진 것인가? 아니면 시대가 저절로 혁명으로 이끌어 영웅을 만드는 것인가? 딩통은 말하고 있다. 그들이 혁명을 만든 것이 아니라 혁명이 바로 그들을 만들었다고 말이다.
전제정치, 왕정을 끝내는 중심에 서있던 그들은 내부적으로 갈등의 씨를 품고 있었다. 자코뱅당의 리더인 로베스 피에르는 공포 정치만이 힘임을 강조한다. 공포를 통해서 사람들을 집중시키고, 그들에게 힘을 부여할 수 있다고 말이다. 그럼으로 그 힘을 이용해서 평화로운 시민을 지키겠다고 말한다. 그들이 말하는 평화로운 시민이란 것이 과연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모르겠다. 아마도 새로운 권력자로 부상한 그들의 말을 곧이 곧대로 잘 듣는 사람을 말하는 것 아닌가? 왕정파와 소수의 다른 견해를 가진 이들을 배척하고 죽이면서 말이다. 그들에게 단두대는 살아있는 권력이고, 사람들을 무릎 꿇게하는 또 다른 힘이었다.
딩통에 대해서 만이 아니라 로베스 피에르에 대해서도 희곡은 많이 할애를 하고 있는데, 그의 인간적인 면이 부각되는 점은 새삼 놀라웠다. 역사시간에 배운 로베스 피에르는 그야말로 피도 눈물도 없는 잔인한 (우리나라 역사로 치면 연산군같은 이미지) 사람이었으니 말이다.
또 다른 글 [보이체크]에서는 가장 밑바당의 계층이 나온다. 사회로 부터 소외되고, 나중에는 스스로조차도 소외시킬 수 밖에 없는 사람들... 게오르크는 이렇게 계급과 민중, 가난에 대해 말하고 이야기하는 작가이자 혁명가였다.
그의 글에서 가장 인상적인 대목은 각자의 방식으로 어리석음을 즐긴다는 말이었다. 우리 모두가 어리석은 자이고, 자유의지를 통해 희망을 얻고, 결국은 그 어리석음을 즐길 수 밖에 없다는 말... 얼마전 장애인들이 지하철을 점검하는 시위를 우리 모두는 기억한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일부 시민들은 그들을 원망했고, 장애인들은 스스로의 이동권을 주장하면서 힘없는 시위를 해나갔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될까... 사람들은 똑똑한 자폐인 우영우에 대해서는 열광하면서 왜 다른 장애에 대해서는 편견어린 시선을 가지고 대하는 것일까? 그들의 시위에 동조하고 힘을 보태주지는 못할 망정 스스로의 불편만을 부당하게 생각한단 말인가? 사실 장애인들의 투쟁은 그동안 소극적인 정부를 향한 자신들의 권리 주장이었지만 어느덧 을과 을의 대립으로 언론들은 기사를 토해냈다. 본질은 가려지고 어리석음만 남았다.
시대를 앞선 천재 라는 수식어가 붙은 뷔히너의 글들은 오늘날에도 역시 유효하다. 프랑스 혁명이 성공했지만 왕정을 대신하는 다른 지배층이 여전히 존재하고, 지금도 우리에게는 보이지 않는 지붕이 드리워져있는 것처럼 말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805/pimg_772883135351093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