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녀와 그 ㅣ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7
조르주 상드 지음, 조재룡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6월
평점 :
그녀와 그
조르주 상드 소설 | 조재룡 옮김 |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남녀간의 사랑이란 과연 무엇일까? 그 본질은 비단 육체적 욕망만이 아닐 것이다. 서로를 향한 강한 끌림, 파멸인줄 알면서도 뚜벅뚜벅 걸어가는 용기란 과연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그래서 남녀관계는 본인 이외에는 알 수 없고, 복잡하다는 말이 있나보다. 그 안에는 변수가 너무 많다.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같은 사랑조차도 사소한 이유로 무너지는 경우도 무척 많고 말이다.
소설 속 테레즈와 로랑... 그 둘의 관계는 이런 남녀관계를 넘어서는 듯 보인다. 로랑의 아이같은 마음, 끊임없이 테레즈를 힘들게 하고, 그녀를 시험한다. 그럼에도 테레즈는 그에게 다가선다. 그에게 무척 치명적인 매력이 있는 양, 테레즈는 로랑에게서 떠나지를 못한다. 로랑은 한편으로는 테레즈를 교묘하게 이용한다. 흡사 가스라이팅 하는 것도 같다. 테레즈는 아이에게 다가가는 엄마처럼 로랑에 대해 헌신적이다. 상처를 입을 줄 알면서도 테레즈는 그녀를 아프게하는 로랑 곁을 떠나지를 못한다.
이를 지켜보는 한 인물이 있었으니, 바로 파머의 존재이다. 그들은 끊임없이 서로를 향한 줄다리기를 한다. 한편으로는 이쪽 편에 쏠렸다가 다시 로랑이 다가오면 테레즈의 마음으로 저멀리로 떠난다. 처음에는 테레즈와 로랑의 관계에서 주도권은 로랑에게 있는 듯 보였다. 하지만 점점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테레즈는 스스로 고통받는 길을 선택한 것은 아닐까... 로랑에게 못 벗어나는 것처럼 보인 것, 그것은 로랑의 의지가 아닌 테레즈의 의지의 작용이었다. 이 관계의 주도권은 로랑이 아닌 테레즈에게 있었다. 테레즈가 관두면 되는 것이었다. 모든 것은 그녀 하기에 달려있었다.
테레즈는 로랑의 방탕을 용인함으로 그를 방탕으로 더욱 더 빠지게했다. 한편으로 그녀는 복수의 여신처럼 칼을 갈고 있지 않았을까.... 스스로 그 고리를 놓아줄 순간을... 로랑을 영원토록 고통받게 만들 위대한 타이밍을 기다리고 있었을 지도 모른다.
이 소설은 조르주 상드의 자전적인 소설이라고한다. 그래서 [그녀와 그]가 처음 발표되었을때 엄청나게 이슈가 된 작품이라고 말이다. 상드가 사랑에 빠진 대상은 바로 뮈세였다. 여행 중 상드에게 병이 생기고, 이때 뮈세는 바람을 피게 된다. 상드의 병이 호전될 무렵에는 그는 발작을 일으킨다. 그후 상드와 교차해서 뮈세가 뇌염에 걸리고 만다. 상드는 방탕한 생활을 마치고 온 뮈세를 저버리지않는다. 그를 석달 동안 정성껏 간호하지만 뮈세는 그 사이에 그를 치료한 의사 파젤로와 그렇고 그런 사이가 되고 만다. 아... 희대의 바람둥이이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현실과 다르게 어느정도 미화의 과정을 거친 듯하다. 기억은 시간이 갈수록 더해지고 덜해져서 어떤 형태로 조각되어지니까 말이다.
[그녀와 그]는 확실한 사랑이야기이다. 하지만 그 사랑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아름다운 러브 스토리가 아니다. 소설의 중심에는 본질적인 남녀관계에 대한 의구심, 인간관계에 대한 고찰이 보인다. 남녀가 만나서 서로에게 빠지는 순간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것은 귓가에 혼자만 들을 수있는 종소리가 울리는 것과 같다. 그 종소리가 어떤 종소리일지는 알 지 못하는 것이다. 축복의 종소리일지, 아니면 파멸의 종소리일지... 결국 듣는 이가 결정하는 것이다. 사랑의 주도권은 사랑을 적극적으로 하는 사람에게 있지, 결코 사랑받는 사람에게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