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시작하는 논어 - 지혜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인생 공부 ㅣ 슬기로운 동양고전
김세중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처음 시작하는 논어
배우고 익히면 즐거움이 터진다.
지혜가 꼬리를 무는 인생 공부
김세중 편저 | 스타북스
항상 시간이 되면 나의 독서목록 순위에 올라있는 것은 바로 논어, 맹자, 주역 같은 동양 고전 사상에 대한 책이었다. 그것도 옛일이 이고, 이제는 읽고 싶은 책들도 많아져서 온갖 것이 섞여있지만, 아마 다시 여유가 생긴다면 동양 사상에 대한 공부를 해보고 싶다.
그 중 논어는 여러 제자들이 공자의 주요 언행을 정리한 책으로 공자 사상에 대한 집대성이라고 할만하다. 그리고 [처음 시작하는 논어]라는 이름에 걸맞게 한자를 몰라도 공자의 말과 여러 에피소드들로 논어에 대한 것들이 편안하게 읽혔다. 대학시절 [맹자]를 원서로 특강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재미는 있었지만 한자로 애를 먹었던 기억이 새록 새록 나기도 했다. ㅎㅎ
논어에 대한 공자의 사상... 그것은 인에 대한 것이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의, 그리고 무엇보다 삶의 지혜가 한 곳에 모여져있는 동양 사상 중에서도 손에 꼽을 학문이라 생각된다. 아마 지금 정치를 하는 모든 사람들이 논어부터 공부한다면 이 나라는 그 얼마나 복된 나라가 될런지... 논어에 대한 시험을 정치가들이 모두 봐야하지 않을까... 작금의 사태를 생각해보면 그것도 하나의 답인 것도 같다.
사람을 천거하는 부분에서부터 공자는 이야기한다. 그 말만 번지르르한 것만 보고 그 사람을 중용하지 않는다고 말이다. 그리고 위왕과 추기의 일화도 새삼 와 닿았는데, 추기란 자는 제나라의 재상으로 그는 하루에 세 번씩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위왕에게 간하는 바, 간신에게 속지말고, 거짓말에 주의하여 참된 의견을 듣도록 권고한다. 이에 위왕은 추기의 의견을 곧바로 받아들여 이렇게 지시를 내린다. 자신의 잘못을 솔직하게 고하는 자에게는 1등상을, 글로써 충고하는 자에게는 2등상을, 조정이나 거리에서 왕을 비평하는 자가 있을때는 3등상을 주겠다고 말이다. 그 후 궁궐 문 앞이 마치 저잣거리처럼 변했다고 하니, 바로 여기에서 문전성시라는 한자어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일년 동안 왕은 무엇을 했을까... 바로 백성들의 고언을 들었다. 한편으로 말하면 악플읽기를 한 것이 아닐까... 하지만 이는 일년이 지나 더 이상 고언할 것이 없어졌다고 한다. 그만큼 왕의 잘못을 더 들추려해도 들출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어떠한가? 비판은 그저 비난으로 묻히고, 의견은 한낱 의견에 불과하다. 위정자들은 모두 스스로 듣고 싶은 말만을 듣는다. 거기에 맞추어 특정 집단을 지지하는 사람들조차 그들의 구미에 맞는 사람들의 말만을 듣고, 믿고자하는 것을 믿는다.
만약 이 시대에 공자가 살아온다면 어떤 행동을 하고 무엇을 설파했을까... 무척 궁금해진다. 지금은 흡사 반대로 가고 있는 듯하다. 모두 자신의 부귀를 자랑하고, 편법을 권하고, 그렇지 못한 자들을 오히려 능력이 없다고 몰아세운다. 남을 밟고 오른 권력 위에서 스스로 배를 불리면서도 그것이 잘못됐다고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지 못한 사람들을 게으르다고, 눈치 없다고 비난하며 힐난한다. 착하게 사는 사람들은 그 착함이 무능력이며, 편법적으로 남을 밟고 부귀를 쟁취한 자들은 능력있다고 인정받는다. 오호라, 통재라.... 한참 잘못되고 잘못된 듯하다. 다시 우리에게 공자가 필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