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피 - 자존감,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윌 스토 지음, 이현경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셀피

윌 스토 지음 | 이현경 옮김 | 글항아리

자존감,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찰칵, 찰칵, 스마트폰이 울린다. 물론 이건 저절로 울리는 소리가 아니다. 인위적으로 사진을 찍는 소리, 찍히는 소리다. 이제 소셜 미디어는 어느덧 일상이 되고 우리는 모든 것을 공유하며 노출한다. 서로 서로가 남보다 더 잘 사는, 더 잘 누리고 사는 쿨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여념이 없다. 스마트폰의 작은 갤러리는 자신의 화면을 넘어서 모두가 공유되는 대화면으로 이동되며 사람들은 하트를 받기위해 또 무언가를 찍고 올린다.

여기 한 남자가 있다. 오스틴이다. 특출한 능력가인 남자이지만 프로바이오틱에 대한 소신 발언과 (여성 질 속 복숭아 향기로 이어진) 그 발언 취지의 오인 보도로 인해 한 순간에 언론의 뭇매를 맡고 쓰레기 취급을 당한다. 결과 그의 선택은 자살이다. 스무살부터 그를 괴롭혔던 조울증이있었다는 보도로 언론의 제 역할을 축소하고 자살에 일조한 가해의 흔적을 지운다. 사실 우울이라는 것은 그의 일상 중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작은 기제 였을 뿐인데 말이다.

자존감에 대한 많은 키워드들이 있다. 그 중 가장 압도하는 것은 바로 네가 진정 원하기만 하면 온 우주가 너를 도울 것이라는 망발아닌 망발이 아닐까?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에서 증폭된 그 말은 어느덧 사람들의 입에 화자가 되고, 긍정의 화신으로 뭐든지 인간은 될 수 있지만 진정으로 간절히 바라지 않아서 도달할 수 없었다는 면죄부를 남발하면서 키워졌다.

조금이라도 어떤 말에 울컥하거나, 침울한 기색이 보이면 이제는 모두들 말한다. 남들의 말에 휩쓸리는 것은 너만의 자기 자존감이 강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말이다. 하지만 사람은 사회, 문화적 동물이다.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사람들의 도발하는 말들에 상처받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그것은 자기 자존감의 문제가 아니다. (오스틴의 자살이 생각난다. 그가 왜 그래야했을까? 자살이 진짜 그만의 문제일까?) 현대 사회에 들어서 약물의존도가 높아지고 이제 정신과를 들러 상담을 받는 일상은 보편적으로 자리매김하는 것같다. 왠지 이 모두는 이 사회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려주는 지표가 되는 듯하다.

저자는 말한다. 완벽주의의 함정에 빠져나오라고 말이다. 뭐든지 될수 있어. 넌 할 수 있어. 살 10킬로만 빼면 인생이 달라질 수 있어. 이렇게 코 좀 높이고, 턱 좀 당기는 수술만하면 넌 몰라보게 이뻐지고 모두들 너를 동경할거야.. 홈쇼핑, 각종 쇼핑몰에서도 말한다. 이것을 사면 당신은 더 완벽해질 수 있어요. 도서를 권하는 유투버들은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 삶이 성찰될 거라고.... 하지만 우리는 사실 이미 알고 있다. 인정하기 싫을 뿐이다. 그런 것은 없다.

완벽주의를 좀 놓고 스스로를 바라보자. 코가 조금 낮고, 눈이 좀 작지만 어떠한가? 그게 내 모습인걸... 자기 모습에 반해 그 모습을 더 자세히 보려고 물에 빠져 죽는 꼴은 적어도 안 당할 수 있지 않는가?

최근 전여친과의 문제가 쇼셜미디어를 통해 불거져 인기가도를 달리고 있던 대세 배우가 여러 프로그램에서 하차하는 일이 벌어졌다. 개인의 사생활이 연예인에게 있어서 인기의 행방을 가를 만큼 중요하기도 하지만 어떤 면에서 보자면 지극히 개인적인, 그 사람의 연기와는 하등 상관없는 사생활일 뿐이다. 스스로를 넘어서서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완벽해야한다는 완벽주의가 셀카의 속도만큼 확산되어가는 것 같다.

우리는 완벽해 보이는 남들과 결코 같아질 필요가없다. 완벽주의는 나르키소소가 빠졌던 호수로 우리를 안내할 뿐이다. 이 책에 나와있는 수많은 자아 중 스스로를 대표할 수 있는 자아가 무엇인가? 이제 새로운 자아를 찾아야한다는 생각이든다. 허상이 아니라 본질을 쫒아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