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틀러 시대의 여행자들
줄리아 보이드 지음, 이종인 옮김 / 페이퍼로드 / 2021년 9월
평점 :
히틀러 시대의 여행자들
여행자의 시선으로 그려낸 히틀러 시대 독일의 초상
줄리아 보이드 지음 | 이종인 옮김 | 페이퍼로드
책을 읽는 내내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 시대의 여행자라면, 아주 부유한 사업가로서 독일에서 뭔가를 도모하고자했다면, 혹은 유명한 예술가여서 독일의 화려한 풍광에 영감을 받을 목적으로 여행을 떠나왔다면 이런 전쟁 발발의 은밀한 기운을 느끼고 각성케하는 무언가를 했을까? 아니면 도리어 곳곳의 기운들을 무시하고 화려한 풍광에의 감탄과 싼 물가에 대한 만족, 친절한 사람들에 대한 경외심... 등 등의 것들에 현혹된 채 독일에 사는 이들의 굶주림은 못보았을까? 저자는 이 모든 것들은 현재에도 충분히 일어나는 것들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람들은 보는 것만을 보고, 그들이 믿고자하는 것을 보기 때문이다.
히틀러 시대에 독일 전체를 흐르고 있는 패전 후의 양상들... 패전국 즉, 영국에 패했으면서도 영국인들을 오롯이 받아주고, 또 영국인들이나 미국인들 모두 앞 다투어 패전국인 독일로 여행을 갔다는 것은 어찌보면 비극이다. 화려한 풍광을 뒤로 한 채 점잖게 옷을 빼입은 청년이 독일로 오라고 광고하는 선전물이 떠오른다. 그 선전물 뒤로 높은 산이 보인다. 누가 알았으랴... 그 산 뒤로 전쟁의 준비가, 수많은 살상무기가 숨어있는 지, 굶주린 많은 사람들이 숨 죽여 있는 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었다.
그 당시 유럽전체는 공산주의를 두려워했다. 소련의 공산주의가 자신들의 있는 곳을 넘을까 전전긍긍하던 찰나에 독일의 히틀러는 공공연히 공산주의를 혐오했다. 아주 지독히도 말이다. 유대인 역시 사회 곳곳에 포진되어 중요한 요직을 담당한 고로 일부 사람들의 눈에 어떤 유대인들은 혐오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히틀러는 이것을 교묘하게 이용한다. 유대인과 공산주의를 한데로 묶어버린 것이다. 이른바 혐오의 재탄생이다. 이는 생각보다 강한 효과를 발휘해서 독일 국민 전체를 묶어버렸다. 히틀러의 화려한 언변은 강한 리더쉽으로 포장되었고, 그는 어느새 세상을 구할 강한 지도자, 초인으로 급부상했다.
두번 더 생각하면 사실 히틀러가 말하는 사상과 소련의 사회주의 사상은 그 맥락은 다를지 모르지만 그 통제방식은 너무나 흡사했다. 억압하고, 강요하고, 강제하고, 통제한다. 국수적이고, 지협적이고, 스스로를 우월하다고 자평한다. 여기에는 어쩔 수 없는 희생이 따른다. 죄없는 사람들이 피를 흘려야한다.
저자는 말한다. 우리는 모두 역사에 대한 '우연한' 목격자라고 말이다. 사실 지금도 역사는 이루어지고 있다. 그 역사의 한 가운데 우리는 살아간다. 최근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한 난민들부터 시작해서 아직도 국제 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미얀마 사태와 로힝야 난민문제 등... 이 모두는 지난 역사와의 중요도를 따져 생각할 수가 없다. 바로 우리의 역사, 현재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보이는 것만 보고, 믿고자하는 것만 믿는다면 앞으로 제 2, 제 3의 히틀러는 분명 나올 것이다. 시대의 요구라고 하면서 우매한 민중을 교란코자 할 것이다. 깨어있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있다. 초인이라고, 위대하다고, 자신을 추켜세우면서 사실상 대중을 선동하고, 혐오를 이용하여 다른 인종을 배타시킨다면 그것이야말로 전쟁의 씨앗이다.
오늘도 뉴스를 보니 이슬람 사원으로 인해 갈등 중인 한 도시 이야기가 나온다. 어떤 이는 여기에 혐오를 더해 말을 한다. 혐오는 대상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한다. 그것은 다른 기대심리를 낳고, 장막을 가리게 한다. 보는 것도 아니고 보지 않는 것도 아닌 상태를 만든다. 흡사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라 생각하지 못하는 좀비를 만드는 양상과도 같다.
보자. 똑바로 보자. 그때 히틀러 시대의 여행자들이 못 본것이 있다면 우리 바로 지금 이 시대의 여행자들은 제대로 보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되므로 말이다. 앞으로의 전쟁, 그것은 인류의 파멸이 될테니까... 갑자기 두려워진다. 모든 사람이 깨어있어야할 이유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