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호랑이 책 - 그 불편한 진실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2
이상권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험한 호랑이 책 - 그 불편한 진실

이상권 지음 | 특별한 서재

동물에 대한 이야기는 불편하다. 왜냐하면 항상 인간은 공존 대신에 지배, 약육강식 등을 내세워 자신외의 종은 멸시하고 죽여왔으니 말이다. 그 중 하나의 동물이 바로 한반도의 호랑이다. 인간이 지배하는 땅에서 더이상 살 수 없어서 멸종한 동물의 예는 호랑이 말고도 많다. 지금 현실에서도 진행중이다. 대표적인 예가 기후위기로 인한 북극곰, 북극여우, 그리고 곤충의 세계에서는 꿀벌이다.

우리나라가 88올림픽때 호랑이를 마스코트로 내세운 것은 참 아이러니다. 그렇게 호랑이를 잡아 죽여서 멸종시켰으면서 마스코트는 호돌이라니... 그리고 자랑스럽게 한반도 모양은 호랑이가 으르렁 거리는 형상이라고 가르친다. 호랑이의 비극적인 역사는 조선전기를 거슬러 올라간다. 사람들이 많아지고 개간될 땅이 필요하자 인간들은 호랑이가 사는 산을 깍고 불을 질렀다. 그리고 해마다 흉년이 되면 호랑이 머리를 잘라서 물 속에 넣었다고 한다. 수도 없는 호랑이 머리들을 말이다. 그들은 산신이니까 영험한 효험이 있다고 생각해서 말이다.

가장 악질적인 것은 일제 강점기다. 일본은 조선의 호랑이를 없애려 조선 포수를 고용한다. 그리고 호랑이 뿐만 아니라 표범 마저도 사냥한다. 해방 후 살아남은 마지막 표범마저 동물원에서 죽고 한반도에 사는 피라미드 위 야생동물은 삵이 차지했다. 그 삵 마저도 과연 지금도 있을까 싶다.

내가 호랑이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정혜윤님이 쓴 <사생활의 천재들>이란 책에서 박수용 감독의 글을 본 이후다. 그는 EBS 야생자연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시베리아에서 천시간이 넘도록 호랑이 삼대를 촬영했다. 땅속에 비트를 짓고 움직이지 못하는 고립무원의 삶을 자초하면서 경이로운 호랑이 가족의 일대기를 남겼다. 얼마나 찬란하면서 마음이 아프던지... 글을 읽고 펑 펑 울었던 기억이 다시금 이 책을 읽고 떠올랐다.

예전에 비디오를 보면 항상 나오는 화면이 있었다. 유해 비디오는 호환, 마마보다 더 무섭다고 말이다. 아마 예전 시대, 호랑이가 나오던 시대에 사람들의 트라우마가 있었던 것같다. 지금은 그 비디오의 첫 마디를 바꿔야할 것같다. 유해한 사람이 더 무섭다고 말이다. 얼마전에도 길고양이를 죽여서 버젓이 자신의 SNS 계정에 자랑삼아 올린 사람이 있었다. 정말 이런 사람이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사람이 아닐까? 생명이란 같은 것이다. 동물도 살기 위해 존재하고 인간도 살기위해 존재한다. 인간이 동물보다 더 나은 존재라는 생각은 아마 요즘 나오는 뉴스를 보는 사람이라면 바로 접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