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무새의 정리 1 - 개정판
드니 게즈 지음, 문선영 옮김 / 자음과모음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앵무새의 정리1

드니게즈 장편소설 | 문선영옮김 | 자음과모음

앵무새의 정리...ㅎㅎ 페르시아 오마르 하이얌, 이탈리아의 타르탈리야, 프랑스 페르마, 스위스의 레온하르트.... 과연 누구를 당신은 아는가? 나는 단 한명을 안다. 바로 페르마다. ㅎㅎ 그런데 나머지는 모른다. 위대한 수학자라고는 하는데 수학엔 문외한인 나로서는 페르마를 아는 것도 황송한 일이다.

거기에 더해서 이제 수학 공식이 한 개 더 추가가 되었다. 바로 앵무새의 정리다.

막스의 앵무새와 페레트가 친구에게서 받은 수학에 관한 책들은 서로가 닮아 있다. 둘 다 천신만고 끝에 살아났다. 앵무새는 잔인한 밀매업자로부터 막스가 구해줬고, 아마존의 불길과 대서양의 파도에 사그라질뻔한 책들도 무사히 페레트의 손에 들어왔다.

단, 이 책들을 모은 당사자 그로루브르는 아리송한 숙제만을 페레트에게 남겨주었다. 페레트는 거기에 대해 이런 저런 고민을 해보지만 뚜렷한 답은 찾을 수 없다. 내 생각에 아마 페레트가 그로루브르가 자신의 생명을 담보로 보내 준 그 책들에 답이 있지 않을까 한다.

학창시절 수학을 난 너무 재미없게 공부했다. 사실 숫자와 별로 친하지 않아서 그런지 수학만 없었더라도 내 인생이 달라졌을 거다고 생각한 시절도 많았다. 하지만 여기 정말로 수학으로 인해 인생이 달라진 사람, 그리고 달라질 사람 두 명이 존재한다. 이미 달라진 그로루브로 그리고 앞으로 달라질 페레트...

작가 드니 게즈 역시 수학자로 수학의 비밀을 풀고, 또 다른 한편으로 가설을 세우기 위해 이 책을 썼으리라 생각이 든다. 학문이란, 특히나 수학적인 학문이란 끊임없이 가설을 세우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 가설을 증명해나가는 것, 그것이 바로 학문의 묘미가 아니겠는가? 아쉽게도 난 가설을 세우는 것을 잘 못하지만 말이다. 만일 가설과 증명의 법칙을 제대로 알았더라면 학창시절 그 많은 수학 시간이 지루하지는 않았을 텐데 말이다.

드니 게즈와 함께 만들어 가는 가설...그리고 그 증명... 이제 시작되었다.

그것은 바로 앵무새의 정리다.





리딩투데이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