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 한 권으로 읽는 오리지널 명작 에디션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서상원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7월
평점 :
품절





안나 카레니나

레프 톨스토이 장편소설 | 서상원 옮김 | 스타북스

복수는 내가 하리라

내 이를 보복하리...

시대를 가리지않고, 오히려 넘나들며 사랑받는 글들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고전이라고 부른다. 고전의 가장 큰 힘은 바로 보편성이다. 내 일같고 또 이웃의 일같고 우리와 밀접하게 무언가 관계가 있는 듯이 보이기 때문이다.

여기 소설 안나 카레니나 역시 마찬가지이다. 안나가 브론스키와의 만남에서 부터 도피까지 그녀를 하나같이 관통하고 있는 것은 사랑? 아니면 욕망?을 통틀어 복잡한 감정의 힘이다. 하지만 안나는 상당히 용기있는 여성임에 분명하다. 그 의지를 남자와의 사랑에 두지 않고 스스로의 자아 실현에 두었다면 그녀가 그렇게 불운하지는 않았을텐데... 하지만 안나의 순수한 마음을 탓할 생각은 없다. 그녀는 순수했다. 그녀는 브론스키의 사랑을 믿었고, 갈구했다.

사람 간의 사랑과 믿음이라는 것은 과연 영원한 것일까? 그 사랑을 결심한 순간은 아마 영원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 하는 거짓 맹세는 순식간에 탄로나니까 말이다. 예전에 누구에게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인간이란 믿음의 존재가 아닌 사랑의 존재라고 말이다. 안나가 브론스키의 사랑을 믿기 시작한 순간부터 안나의 불행은 이미 시작된 것이다. 그냥 그 순간을 즐기고 사랑만 했더라면 상실감도 덜 했을텐데...

사실 안나가 사랑만을 즐기에는 그녀가 포기해야할 것들이 너무 많다. 안정된 결혼생활을 버려야하고, 아이 역시 그러하다. 그리고 새로운 출발에는 역시 예측불허의 무언가가 등장하게 마련이다.

톨스토이는 안나의 격정적인 사랑과는 정반대의 삶을 책 속에 그려넣었다. 바로 키티와 레빈과의 관계이다. 그들의 관계의 중심에 격정적인 욕망은 없지만 잔잔히 흐르는 서로에 대한 신뢰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의지이다. 세상에 열정적인 사랑말고도 추구해야할 다양한 가치가 있다는 것 말이다.

세상에 가장 바보같은 것이 치정에 엃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만큼 치정이란 그 결과가 너무 처참하고, 그 상처는 주변을 아우른다. 치정극에 유독 살인, 자살, 방화 등 온갖 참담한 것들이 붙는 이유일 것이다.

톨스토이가 이 소설을 통해 말하고자하는 것은 무엇일까? 한 순간의 욕망이 주는 허무, 남녀간 사랑의 무분별함... 아니, 그 이상일 것이다. 그는 사랑 그 너머의 가치를 말하고 있다.

인생에는 다양한 가치들이 있다. 한 가치에 매몰되어서 그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면 우리 모두 안나처럼 그 가치가 제로로 되는 순간에 스스로를 파괴하고 싶을 지도 모른다.

다양성의 가치... 꼭 그것이 아니더라도 괜찮다는 믿음... 정말 소중한 것은, 그리고 지켜야할 것은 내 밖에서 찾아야할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찾아야한다.






출판사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