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란사 - 조선의 독립운동가, 그녀를 기억하다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7월
평점 :
하란사
권비영 | 특별한 서재
우리에겐 등불꺼진 저녁같은 이 나라를 구할 사명이 있어.
공부를 하는 건 어둠을 벗어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지.
하란사... 과연 그녀는 누구인가? 사실 이 책을 보고 그녀의 이름을 처음 알았다. 우리나라의 또 다른 여성 독립운동가를 말이다. 세상에 못 알려진 독립운동가가 얼마나 많을지... 하란사 그녀는 작가의 손을 통해 다시 태어나 우리 시대에 읽히고 있다. 이 또한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지 모르겠다.
작가가 마지막에 밝히고 있는 것처럼 나도 하란사라는 이름 자체가 독특하다고 생각했다. 작가의 마음을 끈 것도 이 이름 석자라고 한다. 란사라는 이름은 이화학당에 입학해 세례를 받은 뒤 영어 이름 낸시를 음역한 란사로 부른 것이었다. 그런데 성이 하씨라서 이름이 입에 붙는 것도 같다. 아이러니 하게 이 성은 하상기라는 인천 감리의 성이었다. 그의 후처로 자신의 김씨 성 대신 남편의 성 하씨로 써서 하란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금은 유족의 복원 신청으로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의 위패는 '김란사'로 봉인되어있다하니, 왠지 후손된 우리도 하란사보다는 김란사로 불러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언제나 갖춘 복장으로 꼿꼿하게 다닌 하란사, 그녀는 자신이 배운 모든 것을 한국의 여성을 위해서 바친 여성운동가이자 지금으로보면 페미니스트였다. 그리고 독립운동이 꼭 총과 칼이 아니라 글과 말, 그리고 개인의 의지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녀는 두려워하지 않았다. 고국을 등지고 먼 타국 땅으로 향할 때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면 연인마저 훌쩍 떠날 수 있는 여성이었다. 그녀에게는 보다 더 중요한 것이 가슴 속에 이미 조선 독립이라는 이름으로 싹터 있기 때문이었다.
의친왕 이강을 만난 것도 실로 벅찬 일이다. 아마 그를 타지에서 못 만났으면 하란사가 그렇게 독립에의 열정을 불태울 수 있었을까? 하란사는 황족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나라를 이렇게 만든 것도 어찌보면 세습의 역사라고 탓한 것일까? 하지만 이강의 열망을 읽고 기꺼이 그를 돕는다. 그리고 친일파 세력과 잘못된 위정자들의 분노를 더 곱씹는다.
작가 권비영을 만난 옛 시대인들은 이렇게 다시 태어난다. 덕혜옹주가 그랬고, 또 이번엔 하란사가 그러했다. 그녀와 눈이 마주치면 활자로, 역사로 다시 살아나는 것이다. 작가가 다음엔 과연 어떤 인물을 살려낼지... 기대가 된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