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사 이야기는 채털리 부인의 사랑으로 유명한 작가 DH 로렌스가 옥스퍼드 대학의 의뢰를 받아서 쓴 교양서이다. 로렌스는 한동안 비도덕적, 외설적이라는 비판에 시달려 이 책은 오랜 시간 동안 가명으로 존재해야했다. 하지만 로렌스를 잘 아는 지인들이라면 이 책을 읽고 그가 쓴 것을 한눈에 알아보지 않았을까한다. 그만큼 유럽사 이야기는 일반 교양서와는 다르게 스토리를 읽는 느낌이 강하다. 소설만큼이나 가독성이 좋은 교양서라고 볼 수 있다.
로마를 시작으로 기독교에 걸쳐 여러 민족들 그리고 십자군과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마지막으로 프로이센과 독일의 통일까지 로렌스의 박학다식이 묻어나있고 또한 소설가스런 필력으로 역사서를 누구나 읽기 쉽게 써 내려갔다.
이 책 서문에는 유럽사 이야기가 청년과 청소년을 위해 씌여졌다고 밝히고 있다. 즉 이야기와 일화도 많고 단순한 사실 나열의 역사책이 아닌 현실에서 생동하는 그 시대의 이야기가 펼쳐져있다. 아마 요즘 중고등학교 세계사나 국사책을 로렌스가 집필했다면 어땠을까 싶다. 그럼 일타강사 버금가는 슈퍼 역사 강사가 탄생했을 것이다. 그리고 차라리 소설가가 역사책을 쓴다면 어떨까 싶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문열의 삼국지가 유명하지만 중국역사서가 아닌 우리나라 국사를 필력 좋은 소설가가 쓴다면 아마 너도 나도 중고등학교 국사책을 구하려하지않을까 잠시 상상해본다.
로렌스는 새로운 역사를 말하고 있다. 사진처럼 생생하고, 과학처럼 명확한 것...생생한 역사란 과거의 기록에 나오는 남자와 여자가 벌이는 생동감이 넘치면서 사적인 이야기라고 말한다. 하지만 사적인 요소의 위험성도 충분히 밝히고 있다. 과거를 온전히 드러내기 위해서는 역사의 공간, 공포, 거대함을 가려서는 안되며 지나치게 친숙하고 사적인 역사 기술을 시도하지 않아야한다고 말이다. 그리고 역사를 쓸 때는 비인간적이고 공포스런 요소 안 미지의 감각을 남겨두어야한다고 말이다. 참으로 역사서는 아무나 쓰는 것이 아니다. 많은 것들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말하자면 (로렌스의 말을 빌리자면) 역사란, 진정한 역사란 참된 예술이다. 있는 그대로를 드러낸 진실된 예술이라는 생각이 든다.
출판사 지원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