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전혜린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단 #도서제공

“데미안은, 다시 한 번 우리 안의 알을 두드린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알’을 품고 산다.
그 알은 깨지지 않는 한, 세상에 나올 수 없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바로 그 알을 깨고 나오는 정신의 탄생기이다. 누군가에게는 성장소설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존재의 심연과 마주한 통과의례가 된다.

이 소설은 ‘에밀 싱클레어’라는 한 소년의 시선으로 시작된다.
가정과 학교, 선과 악, 믿음과 죄의식 사이에서 그는 끊임없이 흔들린다. 그리고 그 혼란은 단순한 유년기의 혼란이 아니라,
스스로의 자아를 받아들이기 위한 고통의 시작이다.

싱클레어의 여정은 ‘데미안’이라는 인물을 통해 방향을 얻는다.
데미안은 기존의 가치체계를 넘어선, 어쩌면 신화적이고도 초월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그는 기존의 도덕이 말하지 않는 영역에서 질문을 던지고, 세계는 선과 악으로 나뉘지 않는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상기시킨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책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문장이자, 결국 인간은 자신의 세계를 깨는 일로만 스스로가 될 수 있다는 선언이다.

『데미안』은 감각적 묘사나 서사의 긴장으로 독자를 끌어당기지 않는다. 대신 내면 깊은 곳을 두드리는 문장들로, 조용히 독자를 감염시킨다. 어떤 문장은 철학처럼 느껴지고, 어떤 문장은 기도처럼 다가온다. 책을 덮은 후에도 문장들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이유다.
특히 ‘아브락사스’라는 개념을 통해, 작가는 신성과 악마성, 모든 대립된 개념을 품는 하나의 존재를 제시한다. 이것은 단순히 신비주의적 상징을 넘어, 현실의 경계 바깥에 있는 내면의 진실에 대한 탐색이다.

이 여정을 번역해낸 사람이 바로 전혜린이다.
전혜린은 1960년대, 이 책을 단순한 번역이 아닌 자신의 삶의 고백처럼 옮겼다. 그리고 올해, 그녀의 번역이 북하우스에 의해 복원되었다. 맞춤법과 표기만을 최소한으로 손본 이번 판본은, 그녀가 원문에 새긴 체온과 숨결을 그대로 담아낸 유일한 판본이다.
그녀가 이 책에 담았던 고독, 결핍, 진실에의 욕망이 문장 속에서 여전히 살아 있다. 그녀는 이 책을 번역함으로써, ‘싱클레어’라는 이름을 빌려 자신의 세계를 통과했고, 그 시간의 언어가 오늘날 우리에게 ‘읽히는’ 중이다.

『데미안』은 결국 나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이야기이다.
빛과 어둠, 의지와 유혹, 순종과 반항이라는 내면의 싸움 속에서,
인간은 더 이상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그 둘을 함께 끌어안고 나아가는 것이 성장이며, 성숙이다.
그리고 그 여정은 결코 쉽지 않지만, 반드시 감행해야 할 여정임을 이 책은 알려준다.

이 책을 덮는 순간, 어쩌면 우리는 자신이 그토록 외면하고 있던 ‘나’의 얼굴을 마주하게 될지도 모른다.
아직 알 속에 있을지라도, 그 안에서 이미 세상을 깨뜨릴 준비는 시작되었을 것이다.

#데미안 #헤르만헤세 #전혜린번역 #전혜린 #북하우스 #정신의탄생 #내면의여정 #아브락사스 #존재의질문 #자기발견소설 #전혜린60주기 #북스타그램 #책추천 #고전읽기 #문학 #고전문학 #book #review #인디캣책곳간 #인디캣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사랑을 할 것
슈히 지음 / 딥앤와이드(Deep&WIde)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단 #도서제공 #서포터즈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사랑을 할 것. 제목부터 도발적이다.
흔히 우리는 사랑을 “빠지는(fall)” 감정으로 받아들이지만, 이 책은 그 프레임을 완전히 뒤집는다. 사랑은 빠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하는’ 것이라는 전제 위에 세워진다.

이 책은 ‘사랑’이라는 주제를 감정의 열병이 아니라, 의식의 태도로 바라보도록 이끈다. 저자 슈히는 사랑에 대한 낭만적인 기대를 해체하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면서도 사랑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사랑은 우리가 ‘소유’하거나 ‘빠지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고 실천해야 할 ‘능동적 행위’임을 반복적으로 강조한다.



감정은 깊지만, 중심은 나여야 한다

이 책의 핵심은 명확하다.
“사랑에 빠지는 순간, 우리는 나를 잃는다.”
감정에 취한 순간, 우리는 이성적인 판단을 잃고, 관계의 중심이 ‘상대’로 옮겨간다. 하지만 진짜 사랑은, 나를 잃지 않으면서 서로를 존중하는 과정에서 싹트는 것이다. 슈히는 이를 통해 자기 중심적 사고가 아니라, 자기 보호적 태도를 말한다.

사랑을 하되, 나를 침몰시키지 말 것.
이 단순한 명제야말로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도달한 통찰처럼 들린다.



제목이 곧 메시지다

“Never Fall in Love, Just Love.”

이 영어 부제는 책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가장 간결하게 요약한다.
사랑에 ‘빠진다’는 것은 흔히 우리가 쓰는 표현이지만, 이는 곧 통제를 잃는 감정 상태를 의미한다. 저자는 그러한 사랑을 경계하며, 대신 매일의 선택과 노력으로 만들어가는 ‘행위로서의 사랑’을 말한다. 이성적인 거리두기, 건강한 자율성, 그리고 감정의 절제. 이것들이 진정한 사랑의 바탕이라는 점을 말하고 있다.



연애에 지친 이들을 위한 작은 회복

이 책은 연애와 이별로 지친 사람들에게도 큰 위로가 된다.
불완전한 감정 속에서 자신을 놓아버린 경험, ‘왜 나는 또 상처받았을까’ 하는 자책 속에 있는 이들에게 이 책은 말한다.
“사랑은 운명처럼 빠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매 순간 선택하는 삶의 방식이다.”

이 메시지는 자기회복과 사랑에 대한 재정립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읽는 이의 연애사가 어떠하든, 이 책은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문장들로 가득하다.



‘사랑의 재해석’

사랑이라는 주제를 감정적이고 낭만적인 언어가 아닌, 사유와 실천의 언어로 옮긴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일종의 ‘개념 전환’ 텍스트이기도 하다. 마치 사랑이라는 일상적 감정을 하나의 기호적 구조로 재구성한 작업 같다고 할까.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사랑을 할 것』은 단순한 연애 조언서가 아니다. 이 책은 사랑을 하나의 태도로 재정립하고, 사랑 앞에서 나를 지키는 법을 고민하게 만든다.
감정에 익사하지 않고, 삶의 중심에서 사랑할 수 있는 용기를 주는 책이다.

연애에 지쳐버린 이들에게,
혹은 다시 사랑을 시작하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은 충분히 건넬 말이 있다.

#사랑에빠지지말것사랑을할것 #딥앤와이드 #딥앤와이드서포터즈11기 #슈히 #에세이추천 #연애책 #연애심리 #감정조절 #자기회복 #사랑의기술 #책추천 #북스타그램 #book #revie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 - 문태준 시인의 초록문장 자연일기
문태준 지음 / 마음의숲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단 #도서제공

문태준 시인의 산문집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는 단정하고 사려 깊은 문장으로,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기록한 에세이이다. 제주라는 땅에서 흘러간 다섯 해의 시간은 단순한 일기나 농사일의 나열이 아닌, 시인의 감각과 철학이 오롯이 배어 있는 ‘살아 있는 문장’으로 새겨져 있다.

이 책은 ‘여름, 가을, 겨울, 봄’이라는 사계절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계절마다 다른 빛깔과 냄새, 감정과 기도를 품고 있다. 마치 농부의 손으로 갈무리하듯, 시인은 하루하루의 자연 속에서 감정의 흔적을 따뜻하게 그러모은다.

시인이 제주로 거처를 옮긴 이후, 그는 직접 호미를 들고 풀을 매고, 땅을 일구며, 씨앗을 뿌리고 꽃을 맞이한다. 시를 짓던 손이 흙을 만지고, 글을 쓰던 눈이 들꽃과 돌담을 바라본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연의 숨결에 귀 기울이고, 인간 존재의 무게를 새삼 가늠한다. 이 책은 바로 그 모든 ‘느낌’과 ‘깨달음’의 기록이다.

표지에 흐드러진 초록 식물의 실루엣처럼,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는 화려한 수식이나 장치 없이도 묵직한 울림을 안긴다.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는다”는 문장은 단순한 감탄이 아니라, 자연 앞에 선 인간의 겸허한 자세이자, 회복에 대한 희망이다.

문태준 시인의 문장은 매우 정제되어 있으면서도 감각적이다. 이를테면 ‘작약꽃이 성당 같고 절 같다’는 비유나, ‘얼음 밑의 거실에서 살아가는 물고기’라는 묘사는 자연을 바라보는 시인의 깊은 내면이 투영된 결과물이다. 그는 자신이 돌보는 밭의 이름을 ‘구구전’이라 부르고, 마치 생명의 기록을 이어가는 사관처럼 땅의 시간과 식물의 언어를 노트에 옮긴다.

이 책은 독자에게 시를 읽는 듯한 농사의 언어를 선사한다. 동시에, 묵묵히 자신과 삶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사람의 태도를 보여준다. 뽑아낸 잡초를 한 줄 한 줄 기억하고, 계절을 해마다 다른 리듬으로 느끼며, 그 안에서 흔들리는 감정을 시인은 ‘기록’이라는 이름으로 품는다.

『꽃이 환하니 서러운 일은 잊어요』는 단순한 자연예찬이 아니다. 이것은 일상을 산문으로, 생을 문장으로 다시 세우는 작업이다. 그 안에서 독자는 나지막이 묻는다. ‘나는 얼마나 자연 속에서 내 삶의 리듬을 듣고 있는가?’, ‘나는 이 고요한 세계에 귀 기울인 적이 있는가?’

누구보다 조용히, 그러나 가장 정확하게 자연과 존재에 대해 말하고 있는 이 책은, 하루를 무탈하게 살아내는 이들에게 한 송이의 위로로 다가온다. 지금, 서러운 일이 마음속을 지나가고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꽃이 피고 있으니, 잊어도 괜찮다.

#문태준 #꽃이환하니서러운일은잊어요 #자연일기 #에세이추천 #제주살이 #시인의삶 #마음의숲 #서정시인의산문 #시처럼읽는산문 #감성에세이 #북스타그램 #book #review #주말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평단 #도서제공

삶을 천천히 따라 쓰는 법, 어른이 되어가는 가장 고요한 방법

나태주 시인의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은 단순한 필사 안내서가 아니다. 이 책은 필사를 통해 자신을 다시 만나는 시간을 제안하며, ‘삶을 천천히 따라 써 내려가는 법’을 조용히 알려준다. 하루를 살아내느라 지친 독자들에게 이 책은, 마음 한구석에 따뜻한 등불처럼 다가온다.

나태주 시인은 자신의 시와 산문, 짧은 단상들을 엮어 ‘어른이 된다는 것’의 진짜 의미를 풀어낸다. 그의 문장은 어렵지 않으며, 오히려 쉽게 읽히면서도 마음 깊은 곳을 건드리는 울림을 지니고 있다. 그 문장들을 필사하며 따라 쓰는 동안, 독자는 자연스레 자신 안의 고요한 마음을 만나게 된다.

이 책이 전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어른이 된다는 것은 결국 ‘속도를 늦추고, 단단히 견디며, 자신을 다독이는 일’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일을 하고 많은 말을 주고받지만, 정작 자신과 단둘이 조용히 마주하는 시간은 점점 줄어든다. 필사는 그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방법이며, 시인의 문장을 따라 쓰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멈춰 있던 내면의 언어를 되살려 낸다.

책은 단지 감상적인 문장을 베끼는 것이 아니라, ‘글을 써보는 행위 자체가 삶을 다시 살아보는 일’임을 보여준다. 시인의 글을 따라 쓰는 동안 우리는 자연스럽게 사유하게 되고, 그 안에서 자신의 말과 감정, 기억을 떠올리게 된다. 필사는 어느 순간 사적인 기록이 되고, 다시 쓰는 글은 나만의 삶을 담은 조용한 일기가 된다.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은 하루에 10분이라도 자신을 위해 쓸 수 있는 시간을 만들고 싶은 사람에게 더없이 적절한 책이다. 바쁜 하루 속에서 잠깐 멈춰 서는 법을 배우고, 자신을 돌보는 루틴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필사는 단순한 습관이 아닌, 조용한 성찰의 시간이며 자기치유의 방법이다.

실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필사 쓰는 대로 인생이 된다”는 믿음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한다. 연필이 종이를 긁는 사각사각 소리는 마음속의 엉킨 감정과 생각을 천천히 풀어내는 소리처럼 느껴진다. 필사를 통해 스스로를 위로하고 정리하며, 마침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작은 힘을 얻게 된다.

무엇보다 이 책은 ‘잘 쓰는 글’을 위한 교본이 아니다. ‘잘 살아가는 글’을 위한 안내서이다. 잊혀 가는 단어들 — 온기, 기다림, 다정, 사려 — 을 다시 꺼내어, 그것들을 나의 일상에 한 글자씩 다시 심어가는 시간.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은 바로 그런 책이다.



✅ 이런 독자에게 추천한다

•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나만의 시간을 갖고 싶은 사람
• 마음을 다잡고 감정을 정리하는 글쓰기를 시작하고 싶은 사람
• 필사를 통해 삶의 감도를 되살리고 싶은 사람
• 시와 산문을 통해 성찰과 위로를 얻고 싶은 사람

#필사어른이되는시간 #나태주 #시 #필사 #시집 #필사시집 #북로그컴퍼니 #필사추천 #감성에세이 #자기돌봄 #하루10분글쓰기 #힐링에세이 #시처럼사는법 #글쓰기습관 #마음공부 #감성필사책 #북로그컴퍼니 #책추천 #필사하는삶 #서평블로거 #책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 - 소란한 세상에서 평온함을 찾는 가장 고귀한 방법
나태주 지음, 보담 삽화 / 북로그컴퍼니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단 #도서제공

나태주 시인의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은 단순한 필사 안내서가 아니다. 이 책은 필사를 통해 자신을 다시 만나는 시간을 제안하며, ‘삶을 천천히 따라 써 내려가는 법’을 조용히 알려준다. 하루를 살아내느라 지친 독자들에게 이 책은, 마음 한구석에 따뜻한 등불처럼 다가온다.

나태주 시인은 자신의 시와 산문, 짧은 단상들을 엮어 ‘어른이 된다는 것’의 진짜 의미를 풀어낸다. 그의 문장은 어렵지 않으며, 오히려 쉽게 읽히면서도 마음 깊은 곳을 건드리는 울림을 지니고 있다. 그 문장들을 필사하며 따라 쓰는 동안, 독자는 자연스레 자신 안의 고요한 마음을 만나게 된다.

이 책이 전하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어른이 된다는 것은 결국 ‘속도를 늦추고, 단단히 견디며, 자신을 다독이는 일’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일을 하고 많은 말을 주고받지만, 정작 자신과 단둘이 조용히 마주하는 시간은 점점 줄어든다. 필사는 그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방법이며, 시인의 문장을 따라 쓰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멈춰 있던 내면의 언어를 되살려 낸다.

책은 단지 감상적인 문장을 베끼는 것이 아니라, ‘글을 써보는 행위 자체가 삶을 다시 살아보는 일’임을 보여준다. 시인의 글을 따라 쓰는 동안 우리는 자연스럽게 사유하게 되고, 그 안에서 자신의 말과 감정, 기억을 떠올리게 된다. 필사는 어느 순간 사적인 기록이 되고, 다시 쓰는 글은 나만의 삶을 담은 조용한 일기가 된다.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은 하루에 10분이라도 자신을 위해 쓸 수 있는 시간을 만들고 싶은 사람에게 더없이 적절한 책이다. 바쁜 하루 속에서 잠깐 멈춰 서는 법을 배우고, 자신을 돌보는 루틴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필사는 단순한 습관이 아닌, 조용한 성찰의 시간이며 자기치유의 방법이다.

실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필사 쓰는 대로 인생이 된다”는 믿음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한다. 연필이 종이를 긁는 사각사각 소리는 마음속의 엉킨 감정과 생각을 천천히 풀어내는 소리처럼 느껴진다. 필사를 통해 스스로를 위로하고 정리하며, 마침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작은 힘을 얻게 된다.

무엇보다 이 책은 ‘잘 쓰는 글’을 위한 교본이 아니다. ‘잘 살아가는 글’을 위한 안내서이다. 잊혀 가는 단어들 — 온기, 기다림, 다정, 사려 — 을 다시 꺼내어, 그것들을 나의 일상에 한 글자씩 다시 심어가는 시간. 『필사, 어른이 되는 시간』은 바로 그런 책이다.



✅ 이런 독자에게 추천한다

•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나만의 시간을 갖고 싶은 사람
• 마음을 다잡고 감정을 정리하는 글쓰기를 시작하고 싶은 사람
• 필사를 통해 삶의 감도를 되살리고 싶은 사람
• 시와 산문을 통해 성찰과 위로를 얻고 싶은 사람

#필사어른이되는시간 #나태주 #시 #필사 #시집 #필사시집 #북로그컴퍼니 #필사추천 #감성에세이 #자기돌봄 #하루10분글쓰기 #힐링에세이 #시처럼사는법 #글쓰기습관 #마음공부 #감성필사책 #북로그컴퍼니 #책추천 #필사하는삶 #서평블로거 #책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