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처럼 아름다운 수학 이야기 - 최신 개정증보판
김정희 지음 / 혜다 / 2018년 3월
평점 :
학창시절, 수학교과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보면 ‘힘든 과목’, ‘암기해야 하는 과목’이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수학은 이해하여 문제를 푸는 과목이라 생각되지만 선생님이
‘이해가 안 되면 외워라.’라는 말에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외웠다.
그런데 얼마 전 딸아이가 하는 말을 들으면서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았음을,
수학교육에 대한 변화가 거의 없었음을 알게 되었다.
“엄마, 왜 수학을 외워야 해? 아니 모르면 끝가지 이해해야 하는 거 맞지요?
”응, 그렇지.“
”시험에 나오는 것이니 이해가 안 되면 외워서라도 풀어야 한다는 말 어떻게 생각해?”
“글세. 시험을 위해 공부한다면 맞는 말이지. 그런데 정말 수학을 즐기기 위해서라면?”
딸과 이야기를 나눈 후 나는 수학에 관한 다양한 책들을 읽기 시작했다.
수학관련 읽을 책을 찾다보니 개정판으로 나온 이 책이 눈에 띄었다.
이 책의 저자도 초등학교 다닐 적 수학에 대한 아픔이 있었다.
중학교에 들어가 문제를 끝까지 풀기 시작하면서 수학의 흥미로운 세계를 접하게 된다.
어른이 되어서도 수학의 매력에 빠져들고 있다고 한다. 취미가 될 정도로.
‘1장 내 취미는 수학!’에서는 저자가 수학을 취미로 선택하게 된 이유와
수학을 통한 발상의 전환에 대해서
2장에서는 수학은 철학, 과학, 예술과 연결되어 있으며 역사와 함께 한 수학자들에 대해
3장에서는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자며 문제 풀이로 만끽하는 수학의 아름다움과
중고생들을 위한 여우 공부법, 수학 관련 서적과 영화를 소개한다.
읽으면서 저자와 같아지는 생각
수학은 머리로 이해하고 손으로 쓰고 말로 설명하는 아날로그 방식이어야 한다.
2. 수학은 생활 속에 너무나 많이 있다. 다만 우리가 모르고 지나갈 뿐.
3. 수학을 공부하는 것은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함이다.
4. 수학공부를 할 때는 오감과 신체를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5. 수학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자신 있게 푼 문제를 남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수학 때문에 고민하는 딸에게 읽어보라고 넘겨주었다.
그렇다. 수학은 생각을 총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사고의 깊이를 더해가는 공부다.
21세기 4차산업혁명 시대, 수학의 중요성이 더 커간다고 하니 이제는 나도 수학과 친해져야겠다.
저자가 알려주는 방법대로 수학을 취미로 삼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