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자산 1억으로 평생 월급 완성하라 - 집 한 채에 갇힐 것인가, 현금 부자로 살 것인가, 부록 : 이재명 시대 자산 시장 대전환 가이드북, 지금 사야 할 주식·ETF 비공개 강의
채부심(채상욱) 지음 / 몽스북 / 2025년 8월
평점 :
품절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평생 월급을 완성하라.’

이 문구가 이 책을 읽게 한 이유다.

저자처럼 나도 지속 가능한 현금 흐름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관심이 많다. 퇴직 후 안정된 삶을 살기 위한 고민이다.

 

이 책은 7개의 chapter로 나누어 이재명 정부 시대, 자산 시장의 대전환이 있을 때 편안한 노후를 위한 현금 흐름을 마련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상법 개정과 배당소득 분리 과세로 부동산에서 주식으로의 본격적인 자금 이동이 시작될 수 있기에 지수의 장기 상승에 기대는 투자를 해 볼 만하다고 말한다. 그래서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히 주식 강세장에 장기 투자하는 것이 미래의 노후 준비와 은퇴자금을 마련하는 가장 훌륭한 수단이 됨을 설명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재테크라 하면 자산을 형성하는데 집중하고 현금 흐름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점을 저자는 지적한다. 자산에 집중했기에 현금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노부부의 사례를 설명하며 부동산과 같은 자산 형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현금 흐름과 같은 경상소득을 높이는 투자를 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면서 재테크에서 시간의 개념을 중요하게 여기라고 설득한다. 지금 60대에 10억을 가진 사람보다 30대에 1억을 가진 사람이 더 부자라고 생각한다는 저자의 생각은 시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험요소가 적은 기축통화로 10년 이상을 내다보는 자산 분배 전략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저자는 국내주식이든 해외주식이든 개별 주식을 직접 투자하는 것은 위험성이 높으므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권한다. 해외 지수 ETF와 한국인의 편의에 맞춘 한국증시에 상장된 ETF가 있는데 저자는 달러기반 미국 지수 ETF를 책에서 추천하고 있다. 이유는 세금 때문이다. 미국 지수 ETF는 수익에 대해 250만원을 공제후 22%의 세금을 내면 된다. 그러나 국내 주식 ETF는 세금을 내지 않지만, 해외 상장한 주식이나 인버스, 레버러지 ETF는 수익을 배당으로 보고 2000만원 이하까지는 15.4%, 그 이상은 금융소득종합과제 대상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레버리지 ETF는 절대 투자하지 말라며 원수에게나 추천할 상품이라고 말한다.



 

투자를 할 때 기본적으로 질문하고 대답할 내용을 보면서 알아야 하는 것은 외부가 아니라 내부 나 자신임을 깨닫게 된다. 내가 어떤 성향인지 알게 되면 그 상황과 성향에 맞는 판단을 스스로 내리게 되고, 돈을 벌어야 한다는 집착에서 벗어나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기업을 기르는 기준을 성장의 속도로 분류하라고 권한다. 성장하지 않는 기업은 의미 있는 투자처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성장 기업도 일반 성장주초고속 성장주로 나누어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하면서 단, 초고속 성장주에 장기 투자하는 것은 위험한 일임을 알게 한다. 초고속 성장 기업은 변호가 많기에 짧게 투자하고 이익을 실현한 뒤 뒤도 돌아보지 말라고 권한다. 저자의 말이 공감이 되었다. 투자 경험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놀라웠던 점은 연금저축 펀드를 필수로 생각하지 말라는 부분이었다.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라면 괜찮은 상품이지만 수익률 달성이 가능한지 따져보면 굳이 가입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다. 읽으면서 생각했다. 작은 것을 위해서 내가 큰 것을 놓쳤을 수도 있다고.

 

이제 우리나라는 성장이 정점을 찍고 내려가는 피크아웃에 도달되어 주저하지 말고 해외로 돈을 보내고 해외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미래전략이라고 말한다. 해외 자산을 절반이상 유지하면서 피크아웃 시대에 나타날 수 있는 큰 위기를 대비하라고 말한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만 아니라 해외 투자도 반정도 고려해야 하고, 투자시 안정적인 기업보다 왜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해야 함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