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는 왜 독해력에 주목하는가 - AI 시대 필수 역량 '비판적으로 읽기'의 힘
송숙희 지음 / 토트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재작년부터 문해력 관련 책들을 많이 읽게 되었다. 문해력이 너무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더구나 요즘 AI시대 문해력이 더 중요하다고 하니 더 관심을 갖고 관련 책들을 읽고 있다. 이 책도 세계의 가장 우수대학으로 꼽히면 하버대에서도 독해력을 가르친다고 하니 더 관심을 가지고 읽을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은 내가 출간한 책을 빠짐없이 본 송숙희 작가의 책이다. 독서의 중요성을 알고부터 좋아하게 된 작가다.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이유는 세계적인 부자들이 돈을 벌고 지키고 불리기 위해 죽자고 책을 읽는 이유와 독서가 인생에서 가장 럭셔리하고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것임을 전하고 싶고, 책이 인터넷보다 훨씬 효율이 좋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서라고 한다. 저자는 AI시대의 지성, 독해력이 완성한다-> 자수성가 부자들의 공통분모-> 부자의 책읽기 200년의 비밀-> 독해력의 깊이를 더하는 문제해결-읽는 만큼 거둬들이는 아웃풋 독서-> 월급쟁이 부자되는 책읽기 프로젝트의 총 6개의 PART를 통해 독자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알린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제일 궁금했던 점이 독해력과 문해력의 차이였다. 독해력이 문해력이라고 생각했던 내 생각과 저자의 생각은 달랐기 때문이다. 저자는 책 제목에서도 문해력이라고 하지 않고 독해력이라고 한 이유를 읽고 이해하게 되었다.

OECD에서 정의한 독해력은 '스스로의 목표를 달성하고 스스로의 지식과 가능성을 발달시키며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 텍스트를 이해하고 이용하고 평가하고 숙고하고 이에 대처하는 것' 이고, 문해력은 '문장을 이해하고평가하며 사용함으로써 사회생활에 참여하고 자신의 목표를 이루며 자신의 지식과 잠재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저자는 독해력은 글이나 책이 의도한 대로 읽고 이해하고 활용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드는 의식적인 읽기라고 정의한다. 그래서 지금처럼 머리로 일하는 시대에 독해력은 필수 능력이자 문해 능력은 기본 조건이라고 말하며 독해력이 튼실하면 문해력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자들이 왜 독서를 하는지를 알게 되면서 독서를 그냥 책 읽는 것이 아니라 부자들처럼 생각머리를 키우는 전략적 책읽기를 해야 함을, 지적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읽어야 함을 알게 된다. 부자들은 책을 깊이 있기에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생각하며 읽어야 하고, 읽고 생각한 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통찰의 기회를 만든다고 한다. 부자가 되기 위해 유지하기 위해 책은 반드시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월급쟁이가 부자되는 책읽기 프로젝트는 나의 책 읽기 유형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내가 책 읽을 때, 책을 한 번 잡을 때, 주로 읽는 책의 내용, 책 선정방법, 책 선정 기준, 책 읽는 이유, 한 달에 읽는 책 권수, 책 읽는 시간, 책을 읽는 곳, 책을 사서 읽는지 구매해서 읽는지를 체크해 보며 나의 책읽기 스타일을 확인해 보게 한다. 그런 뒤 월··책 프로젝트 1년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혼자 읽고, 무슨 책이든 50쪽은 읽고, 책 읽는 시간과 장소, 규칙을 정하라고 한다.

 

저자는 인생의 모든 답은 책 속에 있다.’라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지금부터라도 프로젝트 계획을 세워 한 권씩 읽어보길 권한다. 그냥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독해력의 본질을 생각하고 자기 것으로 만드는 방법을 찾으라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왜 독서가 중요한지, 부자들이 왜 독서에 집중하는지, 그리고 내가 행복하게 살기 위해 독서를 해야 함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