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 1%의 비밀은 공부정서에 있습니다 - 스스로 해내는 아이로 만드는 정서 관리 원칙
정우열 지음 / 저녁달 / 2024년 6월
평점 :
부모라면 자식이 누구나 공부를 잘하길 원한다. 숙제하라는 말 하지 않고 공부하길 바라며, 잔소리 없이 아이를 키우길 바란다. 부모의 욕심은 자신의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지 못한다.
부모가 되어 아이를 키우면서 나의 어린 시절, 우리 부모님이 나로 인해 속 많이 상하셨겠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세상에 내맘 같이 되지 않는 것이 자식 농사라는 말의 의미도 이해하게 된다. 어린 시절 내가 싫었던 잔소리를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결국 부모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기에, 나보다 자식은 좀 더 멋지게 성장하길 바라기에, 내가 이루지 못한 것들을 자식이 좀 해 주길 바라는 마음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이 부모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부모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대치동에서 정신과 의사를 하고 있는 저자는 우리가 소홀히 하는 아이들의 감정, 정서에 대해 설명한다.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요즘 아이들과 달리 배우지 못했던 부모들에게 자녀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매순간 아이의 감정을 잘 읽고 그 흐름을 따라가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1부 ‘공부에서 정서가 왜 중요한가’를 통해 잘하려고 하기 보다 망치지 않으려고 노력해야 함을, 2부 ‘좋은 공부 정서의 기본 원칙’에서는 자기주도적인 아이로 만드는 부모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아이의 마음을 다 받아주고, 아이의 행동은 조절해 준다는 대 원칙이 불가능할거라 생각하지만 이것이 방법이라 말한다. 3부, ‘성격 유형별 공부정서 키우는 법’에서는 불안한 아이, 예민한 아이, 의욕이 없는 아이, 쟈신감이 없는 아이, 집중을 못하는 아이, 승부욕이 너무 심한 아이로 나누어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주어야 하는지 설명한다. 읽으면서 부모의 공감능력이 중요함을 알게 된다. 4부, 공부정서를 지키는 대화법은 가장 도움이 되었던 부분이다. 내 욕구를 표현하기 보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 것, 마음을 읽어주는 것, 아무말이나 하지 않고 필요한 말 생각해서 말하기, 결론내지 않는 것이 중요함을 또 확인하게 된다. 부모의 말이 많기보다는 아이가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아이의 자율성을 키우고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임을 알게 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