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이야
강미야 지음 / 학교앞거북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행이다는 말은 안도감을 주는 단어다.

일이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음의 의미가 제목으로 선정되었다는 것은 아마 이 책을 읽으며 이야기의 결말은 안도감을 주는 따뜻함이 가득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표지의 너무 사랑스런 강아지.

눈에는 걱정이 가득하다.

무슨 걱정일까?’

 

여자아이 소미와 강아지 꼬미는 오늘도 신나게 논다.

서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이다.

놀 때도, 잘 때도 언제나 함께한다.



 

소미는 졸음에 몸이 쓰러진다.

너무나 피곤해 이불에 오줌을 누고 만다.

이 모습을 지켜보는 꼬미는 걱정이 앞선다.

소미의 오줌 묻은 이불을 숨기기 바쁘다.

소미가 엄마에게 야단맞는 것이 싫어서, 잘못하면 버려질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꼬미는 왜 그럴까요?”

안절부절 하는 모습을 본 아이들의 질문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경험을 하게 된다. 나에게 행복을 안겨다 준 경험은 추억 한 쪽에 긍정적인 에너지를 준다. 하지만 부정적인 경험은 뇌리에 박혀 불안과 두려움은 비슷한 경험을 할 때마다 꺼내 나를 짓누른다. 강아지 꼬미가 지금 그런 상태다.

꼬미는 주인에게 버려진 강아지다.

그래서 소미의 곁을 한시도 떠나지 않는다.

배고플까봐, 다칠까봐, 외로울까봐, 추울까봐, 무서울까봐.

버려진 꼬미는 보호를 받을 때까지 이런 경험을 했던 것이다.

꼬미는 소미가 이런 부정적인 경험을 하길 원치 않는다.

그런데 소미가 오줌을 쌌으니 불안하다.

소미도 버려질까봐.



 

엄마는 소미를 야단치지 않는다.

오히려 안아준다.

정말 다행이다. 쫓겨나지 않아서.

 

오줌 눠도 쫓겨나지 않는 것을 알게 된 꼬미

오늘도 소미와 함께 신나게 논다.

 

아이를 꼭 안아주며 말한다.

엄마는 너희를 사랑해.”

 

그림책의 강아지 꼬미를 통해 가족의 사랑을 확인하게 된다.

 

지역의 작은 그림책 출판사가 연필 세밀화로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유기견 강아지를 직접 키운 지역작가의 삶이 그림책에 따뜻하게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