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엄하게 가르치지 않는가 - 지나친 관용으로 균형 잃은 교육을 지금 다시 설계하라
베른하르트 부엡 지음, 유영미 옮김 / 뜨인돌 / 2014년 5월
평점 :
우리의 교육이 흔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하면서 가정에서 배워야 할 가장 기본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학교교육을 받게 되고 상급학교에 진학에 비중을 많이 두다보니 인성보다 지식 교육에 더 치중하고 경쟁으로 아이들이 내몰리다 보니 삶에서 지녀야할 가장 기본적인 자존감 교육이 흔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동안 책의 내용이 더 의미 있게 다가왔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지나친 관용으로 균형 잃는 교육을 하고 있는 지금, 적절한 균형을 잡는 방법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조화’와 ‘균형’의 두 단어를 기억하게 한다. 타인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아이의 훈련을 돕는 일과 아이가 주도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는 일, 외적으로 질서를 잡아주는 일과 아이 스스로 내적 질서를 잡게 하는 일이 적절하게 어우려져야 함을 강조한다. 아이들을 책임감 있고 능력이 있는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 부모와 교사는 어릴 적부터 아이들에게 어는 정도로 개입할지 결정하게 한다. 저자는 교육의 본질을 ‘이끌어 주는 것’으로 제약과 반복을 통해 훗날 스스로 규칙을 따를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라 말한다. 그래서 ‘시간’과 ‘유머’를 강조한다. 부모는 아이들과 시간을 어떻게 쓸지 미리 잘 가늠하며 시간에 쫓겨 아이들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너그러운 마음에서 아이들을 존중하면서 마음을 열게 해야 한다. 결국 부모의 힘은 아이에 대한 사랑으로 ‘권위’를 가지는 것이다. 부모의 권위는 아이들의 삶에 질서를 가지게 하는 것이며 이 질서는 훈련으로 이루어진다. 아이들을 질서의 주인으로 키우되, 질서의 노예가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부모나 교사의 역할이다.
“교육의 가장 커다란 문제 중 하나는 규칙에 복종하는 것과 자유를 누릴 능력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이다.”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나오는 말이다. 부모와 교사는 아이들에게 복종을 가르치고 훈련하는 한편 그들을 자립으로, 자기 훈련으로, 자유로 인도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아이들에게 본보기가 되는 삶을 사는 것이 교육의 기술이며, 교육자의 행복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결국 교육은 교육장의 본본기가 중요함을, 교육자의 바른 교육철학이 중요함을, 그 어느 때보다 교육자인 부모나 교사가 다시금 올바른 교육을 생각해야 함을 알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