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내가 풀빛 그림 아이
장덕현 지음, 윤미숙 그림 / 풀빛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만약에~’라고 시작하면 일어나지 않는 일을 상상하거나 생각할 때, 또는 과거를 되돌아보며 그때 이렇게 했더라면 어떠했을까되돌아볼 때 많이 사용한다. 이 그림책의 제목을 보면서 앞으로의 상상인지, 과거을 경험을 떠올리며 다른 선택을 했을때를 가정해 보는건지 궁금해진다.

 

앞면지를 펼치며 만난 첫문장이 그림책의 내용을 짐작하게 한다.

모든 국민은 내가 시키는 대로만 하라. 그럼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다.”

왕의 무슨 명령이든 복종하라는 의미.

 

과연 백성들이 이런 나라에 살고 싶을까? 넌 어떨것 같아?”

그럼 난 이민갈 거예요.”



 

왕은 전쟁을 피해 도망쳐 온 이웃 나라 사람들도, 발이 큰 사람도, 개 키우는 사람도, 장애인도, 노인도 모두 성 밖으로 내쫓는다. 이웃 나라 사람들은 우리와 상관없는 사람이니까, 발이 큰 사람은 게으르니까, 개때문에 시끄러우니까, 장애인은 우리와 다르니까라는 말도 안되는 이유 때문이다. 이들은 우리가 말하는 사회적 약자들이다. 사회적 약자는 나의 의지와는 상관이 없다. 그래서 어떠한 경우라도 차별을 하여서는, 받아서는 안된다. 그런데 나는 이러한 왕의 행동에 어떠한 말도 하지 않는다. 사회적 약자에 해당되지 않으니까. 나는 성 밖으로 내쫓지 않으니까. 왕이 나는 쫓아내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던 걸까?

 

그림책을 읽으며 생각해 본다.

지금 나는 어떻게 생각하고 살고 있는지. 혹시 나도 그림책 속 은연중에 그림책 속 주인공처럼 생각하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나만 아니면 된다고 사는 것은 아닌지.’

 



결국 나도 성 밖으로 쫓겨난다. 이유도 모른다.

억울하고 답답하고 무서워 도와달라고 소리쳤지만 아무도 내다보지 않는다. 나를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남아 있지 않다.

만약에 내가 이웃나라 사람들을 보호했다면, 개를 키운다고 욕하면 안된다고, 장애인을 차별하면 안된다고 항의했다면 내가 억울할 때 맞서줄 사람이 있었을 것이다. 잠자코 있지 않았다면.’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살아갈 모습을 생각한다면 옳지 않다고 생각되면, 차별이라고 생각되면 항변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 모두의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며 사는 것이며, 인권이 보장되는 사회, 나라가 진정 모두가 행복한 사회나 나라가 되는 것이 아닐까.

 

인권교육을 할 때 아이들과 함께 읽으며 생각해 보는데 활용하기 좋은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