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미의 가족 상담소 - 모르면 오해하기 쉽고, 알면 사랑하기 쉽다
박상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은 삶을 함께하는 사람들이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사람이 출생, 결혼, 또는 양자 결연으로 관계된 집단으로 한 집에 함께 거주하는 친밀한 관계의 사람들이다. 이러한 가족을 통해 아이들은 인격을 형성하고 사회화 교육을 받게 된다.

 

시대가 바뀌고 가족의 모습이 바뀌고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가족의 갈등이 심해지고, 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TV프로그램에도 가족 관계 관련 프로그램들이 많아지고, 시청자들은 해답을 찾고자 노력한다.

 

가족 관계가 중요함을 알기에 이 책을 통해 가족의 관계 기술을 배우고 싶어 읽게 되었다.

 

가족이란 치열하게 싸오고 눈물 나도록 후회하는 관계

 

저자의 이 말에 공감한다. 누구보다 가깝고 사랑하지만 가장 상처를 많이 주고받는 관계, 선택할 수 없기에 평생을 함께해야 하는 관계가 가족이기에 저자의 이 말이 공감되는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자식은 완벽한 타인이다.”

부부가 잘 지내려면 잘 싸우는 지혜가 필요하다.”

부모의 자존감이 아이의 자존감이다.”

사랑을 전달하려면 내 언어가 아닌 가족이 좋아하는 사랑의 언어로 말해 주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를 되돌아보게 된다.

섭섭함만 생각했지 가족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가족에게는 경청과 공감이 필요함을 알게 된다. 공감하는 말, 동조하는 말로 잘 들어주면 우리의 묵은 감정은 풀릴 수 있으며, 이전보다 더 뜨겁게 사랑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섭섭하면 섭섭하다고, 기분 나쁘면 어떤 이유로 기분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족이기에 참는 것이 아니라 나의 감정을 솔직하게 말하는 연습도 필요함을 알게 된다.

 

그래서 가족은 공부해야 한다. 아이들을 응원해 주는 친구 같은 상담사가 되어야 하고, 자신의 길을 잘 찾아갈 수 있는 안내자 역할을 해야 한다. 외국어를 배우듯이 사랑의 언어를 배워야 하며, 공감 대화 방법도 배워야 한다. 충고와 평가를 멈추고, 표정 언어에 주의하며, “그랬구나로 시작해야 한다.

 

가족 상담의 사례를 읽으며 가족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서는 가족이 아니라 나부터 변하려고 노력해야 함을 알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꾸 내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 한 편으로는 불편했지만 평생을 함께 할 가족의 관계를 위해서는 나부터 가족의 관계 기술을 배우고 노력해야 함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