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우리가 이만큼 작아요? 똑똑그림책 1
굑체 이르텐 지음, 에코박스 옮김 / 지구의아침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두 손가락에 담겨지는 지구.

이렇게 보면 지구는 정말 작다.

하지만 실제로도 그럴까?’ 생각을 하며 그림책을 보게 된다.

 

집이 나온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집.

그러나 집도 지구에 있기에 우리는 지구에 살고 있다.

주변에 보이는 가장 큰 것은 무엇일까?

올림픽 수영장, 거대한 건축물?

생각해보면 지구의 유일한 위성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것이다.

우리 지구는 달보다 클까? 작을까?

이 그림책은 아이의 입장에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의 크기를 비교해보게 한다. 그러면서 멀리 있으면 작은 것일까?’ 궁금증을 가지게 한다.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이 있으며 우리 지구는 태양에서 세 번째 행성임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행성의 크기는 각각 다르며 색도 다르다.

목성이 가장 크고, 수성이 작다. 지구의 위성은 수성보다 더 적다.

아이들이 그림책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행성의 특징들을 설명하면서 아이들의 주변 사물을 활용하여 설명한다.

수성은 아빠의 발과 아이의 발의 크기로 비교하게 하고,

다른 행성들과 반대방향으로 도는 금성은 물고기 떼의 모습으로 설명한다.

풍선껌을 분 모양을 목성과 지구로 나타내고,

너무 추워서 얼음 거인으로 알려진 천왕성을 아이스크림으로 표현하다.

태양은 너무 크고 또 엄청 넓어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 때 정말 작게 보임을

태양의 궤도에 작은 지구를 그려 넣어 이해하게 한다.

아마도 작가도 담을 수 없기에, 아이들에게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게 하고 싶은 깊은 생각인 듯 하다.

 

지구에 살고 있는 나보다 작은 생물들을 보면 내가 한 없이 커 보이지만 거대한 태양계에서 나는 점으로 표현하기도 어려움을 아이들에게 그림을 통해 알게 한다.

심오한 태양계를 그림책의 그림을 보며 아이들의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 그림책이다.

책장을 넘기며 아이들의 크기에 대한 상상도 할 수 있고, 태양-행성-지구-나를 연결시켜 우리가 정말 작은 존재임을 알게 한다.

어려운 과학 지식을 수치의 비교 대신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여 아이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자연스레 과학지식을 얻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