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6의 독서는 달라야 합니다 - 책 싫어하는 고학년의 문해력·독해력·독서 감상문 잡는 기술 ㅣ 바른 교육 시리즈 19
전영신 지음 / 서사원 / 2021년 11월
평점 :
외국의 영화를 보거나 여행을 하면서 책을 읽는 사람들을 자주 보게 된다. 그럴 때마다 드는 생각이 ‘평생 독서’였다. 학창 시절만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죽을 때까지 책을 읽어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요즘 쏟아지는 책 속에서 읽고 싶은 책을 고르는 재미로 책과 친해졌지만, 아이들은 책보다는 휴대폰을 더 좋아 책을 점점 더 멀리하는 것 같다. 그래서 초등에서의 독서가 중요함을 이야기하지만, 아이들은 느끼지 못한다. ‘어떻게 하면 책을 읽게 할 것인가?’ 고민하다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읽게 되었다.
현재 초등교사로서 고학년에게 책을 읽게 만들었던 성공 경험을 담고 있다. 6학년 아이들에게 책을 읽게 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마음 열기’라고 한다. 따뜻한 이야기를 나누며 아이도 어른도 서로를 안아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제목과 표지를 눈여겨 보고, 작가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마인드맵을 그려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때로는 갈등과 문제 상황만 들려주기도 하고, 책의 앞부분을 통째로 읽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소개한다. 그러면서 완독의 기쁨을 느끼게 하면 그때부터 아이들은 책에 푹 빠지기 시작하고, 책읽기의 즐거움을 알게 된다고 한다. 저자는 학급에서 독서시간을 정해서 읽었다고 한다. 책을 읽고 난 후, 아이의 감상과 경험을 들어주는 북토크도 도움이 되고, 도서관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된다고 말한다.
저자는 아이들을 단단하게 세워 줄 도서 5권, 따뜻하게 보듬어 줄 책 5권,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보여 주는 책 5권, 우리 역사와 삶의 지혜를 보여주는 책 5권, 우리 아이를 미지의 세계로 데려다 줄 책 5권을 소개한다. 책마다 소개하는 자세한 내용이 담겨있으며, ‘함께 읽으면 좋은 책’, 북토크를 할 수 있는 예를 제시한다.

‘우리 아이가 읽은 책인데, 그때 북토크라고 해 보았다면 좋았을텐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함께 읽으며 가족 모두가 함께 모여 이야기 나눌 시간을 만드는데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사춘기라고 멀어지려는 아이와 대화의 문을 열 수 있는 좋은 방법들을 알게 되었다.
제목의 초6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본다. 초6의 독서습관 정착은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는다는 저자의 말을 믿고 아이와 함께 책 읽기부터 시작하려 한다.
“책을 싫어하는 아이란 있을 수 없다. 단지 좋은 책을 발견하지 못한 아이들만 있을 뿐이다.”라는 프랭크 세라피니의 말을 생각하며 나부터 책을 좋아하는 독자가 되면 아이도 따라 읽지 않을까 기대를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