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이 뭐예요? - 초등학생을 위한 세상에서 가장 쉬운 천체 물리학
미네시게 신 지음, 구라베 교코 그림, 전희정 옮김 / 이성과감성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랙홀이 뭐예요?”

질문하는 아이에게 우주에 있는 커다란 천체야.”로 끝냈었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아이에게 어떻게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 고민한 후 그냥 넘기고 말았다. 이 그림책으로 아이와 함께 자신이 없던 블랙홀의 세계를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블랙홀의 전문가인 미네시게 신 작가가 초등학생들에게 천체 물리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그림책으로 출간한 책이다. 그림책의 표지부터 우주를 연상할 수 있다. 검은 면지가 블랙홀의 의미를 더 연결 시켜 주는 것 같다.

 

 

블랙홀에 대해 알고 있나요?” 질문으로 시작한다.

질문에 대한 답으로 블랙홀은 지름이 50킬로미터 정도 되는 크기로 무엇이든 빨아들이는 들이는 우주에 있는 수수께끼로 둘러싸인 천체라고 설명한다. 하나가 아니라 아주 많으며, 은하라는 별들의 무리에 들었다고 한다. 블랙홀에도 지구처럼 중력이 있어 미끄럼틀을 타듯이 빨려 들어간다고 한다. 지구보다 작지만 300만 배나 더 무겁다고 하니 중력의 힘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줄넘기를 넘는 남자아이가 뛰어오를 수 없을 정도라고 아이들의 시선으로 설명한다.

 

블랙홀의 본체는 중심에 특이점이라는 곳이 있다고 한다. 특이점은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아주아주 작은 점이며 현대 물리학에서도 어떻게 되어 있는지 밝혀내지 못했다고 한다.

 

블랙홀은 이름처럼 아주아주 새까맣기에 보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주위에 있는 가스를 빨아들일 때 마찰이 일어나서 엄청 뜨겁게 달아오르며 X-선이라는 전자파를 내보내는데 특수망원경으로 X선을 보고 블랙홀을 찾는다고 한다. 정말 신비스러운 천체다.

 

빨아들이기만 한다고 생각한 블랙홀이 뿜어내기도 한다고 한다. 빨아들이려 했던 가스의 일부를 뿜어내는데 이를 제트라고 하며 이 제트가 우주 공간에 별을 탄생시킬 수도 있다고 과학자들은 예측한다고 한다.

 

아직도 많은 수수께끼를 간직한 블랙홀을 이 그림책을 읽는 독자(아이들)가 밝혀낼 수 있다며과학과 우주에 관심을 갖게 한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블랙홀에 대한 궁금증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