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린 우드카빙 - 스웨덴 슬뢰이드 장인의
요게 순크비스트 지음, 용형준 옮김 / 다봄 / 2019년 10월
평점 :
‘슬뢰이드’란 낯선 단어
‘그린 우드카빙’이라는 알 듯 말 듯 한 단어
느낌으로 목공예와 비슷한 것임을 짐작해본다.
앞면지에서 만나는 나무 다루는 도구들.
처음 보는 도구부터 오랫동안 사용한 흔적을 남긴 도구들이다.
‘슬뢰이드’란 9세기경 ‘슬뢱’이란 단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독창적이고 기발하며 기교가 있다는 뜻으로 농부들이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며 농장 인근의 나무, 아마, 가죽, 모피, 뿔, 금속 등의 천연 재료들을 활용해 능숙하게 물건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우드카빙이란 전공 공구가 아닌 수공구만을 활용해 생나무를 직접 깎고 다듬어 만드는 목공예를 말한다. 수공구로 직접 칼질하여 만든 물건은 기계로 만든 것과는 달리 거칠고 투박하지만 동시에 소박하고 정겨운 매력과 독창성을 갖는다. 축축한 나무 향을 맡으면서 자신의 힘으로만 가공한다는 특별한 매력 때문인지 최근 그린 우드카빙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특히, 거창한 장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어 캠핑과 함께하는 취미로도 인기가 높다. 이 책의 저자가 소개하는 목공예는 전동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공구를 사용하여 작품을 만들기에 수공구만 사용하는 목공 입문서로고 말할 수 있다. 기계 작업은 생산 속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디자인 선택에는 제한이 있기에 기계 작업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이 책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02/pimg_7726151172345673.jpg)
이 책은 이제 막 슬뢰이드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그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제시한 프로젝트들을 따라 하다 보면 고급 슬뢰이드 방법을 단계별로 배울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배워가는 과정 속에서 과정들을 통해 서서히 자신에게 맞는 슬뢰이드 형식을 찾아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슬뢰이드가 좋은 이유로 오래가고 기능적이며 깊이 있는 나만의 물건을 창조할 수 있으며, 적은 경비로도 큰 만족감을 얻는다고 한다. 나무는 아주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이며, 한정된 수공구를 사용하는 일은 오히려 작업자를 더 창의적으로 만든다. 생목은 가공하기 쉽고, 자신의 물건을 직접 만들고 사용하는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기쁨을 맛보는 6가지를 들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02/pimg_7726151172345674.jpg)
이 책은 초보자들도 따라할 수 있도록 도구, 재료, 도구사용법, 손과 도구의 자세 그림과 설명, 하나의 작품의 다양한 디자인, 그리고 완성품의 사진들. ‘어떻게 목공예를 시작할 수 있을까?’를 걱정했는데 이 책은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서두름 없이 느긋하게 하나하나 배워 가면 성취감을 만들 수 있다.
책의 뒷부분에는 용어정리와 도구 및 재료 공급 업체가 소개되어 있어 초보자들이 어떻게 재료와 용구를 구입해야 할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 책은 목공예를 하고 싶어 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자신만의 창의를 목공예에 담고 싶은 사람이라면 더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