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 할망과 수복이 풀빛 그림 아이 69
김춘옥 지음, 장경혜 그림 / 풀빛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할매라고 하는데 할망?

제도도 사투리다.

이 책은  제주도 사람들이 자식들을 점지해주는 삼시할망을 통해 소중함을 알려주는 그림책이다.

 

책표지의 할머니와 아이의 모습.

할머니와 손자의 모습이 아니라 삼신할망과 태어날 아이의 모습이다.

아이를 인간 세계로 보내주기 전의 모습!

이를 보통 우리는 점지해 준다고 표현한다.

 

바닷가 외딴집에 사는 수복할아버지는 벽장에서 소중한 낡은 보자기를 꺼낸다.

속에는 빛이 바랜 실타래가 들어있다.

엄마 실타래가 뭐예요?”

. 실뭉치를 말해. 예전에는 지금처럼 실이 실패에 감겨있지 않고 실이 엉키지 않도록 실타래로 묶어 두었거든. 이 실을 풀어서 실패에 감아 썼어. 엄마가 손에 실타래를 끼고 있으면 할머니께서 실을 풀어 실패에 감아 쓰셨어.”

그림을 그려가며 설명한다. 세월이 변하긴 변했다.

 

삼신할망이 꽃밭에서 생명꽃을 준다.

수복이는 노란 생명꽃을 받았지만 저승할망의 순식간 행동으로 인해 꽃잎을 모두 잃고 만다.

삼신할망은 걱정하는 수복이에게 정성을 기울이면 된다고 안심시킨다.

온전히 못한 꽃으로 엄마 뱃속에 들어가지만 엄마와 삼신할망의 보살핌으로 건강하게 태어난다. 금줄을 쳐서 귀신들로부터 수복이를 지키게 하고, 백일음식을 나눔으로서 저승할멈이 엿보는 기회를 차단시킨다. 아이를 키우는 정성들이 아이를 지키게 된다. 돌이 되어 수복이는 무명 실타래를 쥔다. 그림책 시작 때 수복할아버지의 보자기에 있던 실타래가 이 실타래다. 실은 장수를 의미한다. 수복할아버지가 이렇게 건강하게 사실 수 있었던 것은 삼신할망의 돌봄 때문이며 돌잡이로 실타래를 뽑았기 때문일 것이다.

 

삼신할망이 어떤 일을 하는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는 그림책이다. 생명의 소중함, 생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은연중에 알려주기도 한다.

삼신할망을 모르던 아이가 이 책을 통해 삼신할망을 알게 된다.

아이를 가지기 전부터 기도하는 마음, 아이가 태어나 자라면서까지 건강하게 잘 자라길 바라는 마음이 삼신할망을 통해 그대로 전해진다.

 

이 그림책을 읽고 나니 묻는다.

엄마도 삼신할망께 빌었어요?”

물론이지. 건강한 아기 나에게 오게 해 주라고. 그래서 삼신할망이 예쁜 너를 엄마에게 보내준거야.”

미소를 짓는 아이의 모습에서 이 그림책의 의미가 더 깊어진다.

 

그림책 속의 이 문장이 가슴에 와 닿는다.

생명에는 정성이 필요하단다.”

이 말을 생각하며 아이를 길러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