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라는 헛소리 - 욕심이 만들어낸 괴물, 유사과학 과학이라는 헛소리 1
박재용 지음 / Mid(엠아이디)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관련 책은 읽으면서 몰랐던 것을 새롭게 알게 되거나 기억을 되살려보며 생활의 적용을 찾게 되어 읽는다. 그런데 이 책은 제목이 암시하듯 일상생활 속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를 과학적으로 비틀어 생각해 보게 한다. TV를 보면서 이 말을 들으면 맞는 것 같고, 또 다른 방송을 보면 틀린 것 같은 생활 속 이야기를 과학적인 지식으로 설명한다. 이 설명을 통해 비판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여야 함을 알게 된다.

 

과학저술가인 박재용은 고의로 퍼지는 유사과학이 무엇이고, 그 이해에는 어떤 이해관계가 얽혀있는지 파악해보자는 의도에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몸에 좋을지 모르겠지만’(건강에 좋다는 말), ‘너의 공포, 나의 수익’(공포 마케팅), ‘과학인 듯 아닌 듯’(과학인 것 같지만 과학이 아닌 것), ‘위험한 비과학적 주장’(사실이 아닌 것), ‘상식이라고 생각했지만’(화학합성물에 대한 오해), ‘혐오, 과학의 탈을 쓰다.’(정상과 비정상)6PART로 나누어 유사과학에 대해 비판적인 사고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선풍기를 틀어 놓고 자면 공기가 희박해져 죽는다.’라는 선풍기 사망설을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은 우리가 과학적인 지식을 잘 몰라서이다. 과학인것 같지만 사실은 과학이 아닌 주장이나 이론을 믿고 있는 것인데 이것이 유사과학이라고 하며 저자는 이 유사과학을 과학이라는 헛소리라고 일컫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연이 준 건강식품이라는 효소를 열심히 먹었던 내가 정말 아무 생각 없이 무조건 기업이 말하는 것을 믿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콜라겐이 피부에 좋다는 말도, 게르마늄 팔찌도, 글루텐 프리도, 카제인나트륨도 결국 과장 광고에 귀가 솔깃했었음을 알게 되었다. 저자가 과학적 지식으로 설명을 해 줄 때마다 고개를 끄덕이게 되고, 이제는 더 이상 과장광고에 속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또 하나, 모든 지식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아닐 수도 있고 지금도 증명을 하고 있음을, 과학은 실패를 거듭하는 것임을 그것이 과학의 즐거움임을, 우리가 이런 과학의 즐거움을 생활에 반영해야 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제는 유사과학이라고 과학적 근거가 없는 주장을 믿기 보다는 먼저 합리적으로 의심해보는 적극적으로 속지 않으려는 태도를 가져야겠다는 생각했다. 합리적인 의심은 소비자로서 권리이자 의무이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좀 더 현명한 삶을 영위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변사람들이 ‘~가 좋다 하더라.’라는 말에 이제는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