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기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소설의 기술 밀란 쿤데라 전집 11
밀란 쿤데라 지음, 권오룡 옮김 / 민음사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나는 가끔 '소설을 왜 읽는 가'에 대한 고민을 한다. 단순히 재미를 떠나 별로 재미없는 소설까지도 끝까지 손에서 놓지 않고 읽는 까닭은 무엇일까 고민해보면, 소설 속의 만들어진 인물을 통해 나의 모습을 발견하고 이해하며 타인의 입장에서 공감하고 그로 인해 위로받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소설 속에 '나'는 실제하는 '나'와는 완벽하게 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거울 속에 비친 '나'를 통해 내 얼굴의 생김새를 하나씩 뜯어보듯이 소설 속의 인물을 통해 '나'라는 존재를 부분적으로 깨닫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설을 읽는 것은 아닐까.

 

 밀란 쿤데라의 <소설의 기술>을 읽고 나의 이러한 생각이 크게 빗나가지 않았다는 생각에 안도하는 한편, '소설'이 근본적으로 무엇인가에 대해 알면 '왜 소설을 읽는지', '소설 속에서 우리가 발견해야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 더욱더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밀란 쿤데라는  '근대 유럽 소설은 근대의 철학과 과학이 인간의 존재를 망각함으로써 망각된 존재를 찾으려는 노력이 세르반데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원래 과학과 철학이 인간의 존재에 대해 고민하던 학문이었으나 근대 지식이 더 이상 그 문제에 대해 관여하지 않음으로서 (오히려 인간의 존재를 상실하겠금 만든다.) 소설로 하여금 인간의 구체적인 삶을 살피게 하고 존재의 망각으로부터 지켜주고 '삶의 세계'를 영원한 빛 아래 보존케 하기 위해 '소설'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즉, 소설의 역사는 인간의 자아 성찰의 문제와 더불어 탄생하였고 소설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누구인가를 보게 하고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알게 해주는 것'으로써 소설가는 '저 뒤쪽 어디에' 숨겨진 인간의 가능성을 발견을 끊임없이 발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창작자가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서도 알 수 있지만 인류가 오랜 세월에 걸쳐 꾸며 된 이야기를 열광하며 읽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유럽 소설 역사에 대한 맥을 어렴풋이 머릿속에 그리며, 그 과정 속에서 그 시대의 소설가들은 '나'의 존재를 어떻게 포착하였는 지, 특히 비합리적 순수의 결정체인 '역사' 속에서 인간의 가능성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브로흐의 <몽유병자들>을 통한 근대 사회에서의 존재론적 가치와 역사보다 앞서 '오래전부터 이미 있어 왔던 인간의 가능성을 발견'한 카프카의 작품 세계, 그의 작품으로 본 현대 관료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물론 머리를 싸매며 읽어야 하는 고통이 따르긴 하지만 그 만큼의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나는 아직 말란 쿤테라의 <농담>,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나 브로흐의 <몽유병자들>, 카프카의 <성> 등을 읽어보지 못했다. 그래서 <소설의 기술>에 관한 작은 조언을 하자면 이 책을 보다 확실히 이해하고 더욱더 재미있게 읽기 위해서는 앞에 언급한 작품들을 읽어본 뒤에 읽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끝으로 밀란 쿤데라의 <소설의 기술>은 에세이 측면에서 편하게, 비전공자도 손쉽게 읽을 수 있다는 말은 하지 못하겠다. 그러나 단순히 유희적인 측면으로만 소설을 바라보았던 독자라면 '소설이 무엇인가'에 대해 작가와 같이 고민함으로써 소설에 관한 시각이 한 층 넓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소설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살아있는 소설'과 '죽은 소설'을 구분할 수 있을 것이고 보다 양질의 독서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기대해본다. 

  

*. 알라딘 공식 신간 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일락 2013-03-24 2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밀란 쿤데라의 소설을 읽지 않은 저에게는 좀 버거운 책이었습니다. 거의 모든 신간평가단 여러분의 리뷰에 그런 내용이 나오네요.
서평 감사하게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