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평 글쓰기 특강 - 생각 정리의 기술
김민영.황선애 지음 / 북바이북 / 2015년 6월
평점 :
요즘엔 뜸해졌지만 한동안 서평이벤트에 열심히 응모했다. 누구보다 먼저 신간을 읽는다는 기쁨도 잠시 무엇이라도 써야만 하는 숙제를 안게 되었다. 글솜씨가 없어서 좋은 서평은 쓰지 못한다. 서평 쓰는 법 좀 누가 가르쳐주었으면 싶어서 글쓰기 이런 저런 책도 읽었다.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는 이해한만큼만 쉬운 말로 쓰라고 이야기하고 [서민의 서민적 글쓰기]에서는 너의 스타일대로 쓰라고 한다. 또 어떤 책에서는 좋은 서평을 꾸준히 읽다보면 좋은 서평을 쓰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이 책에서는 서평이 독서의 완성이라고 말한다. 읽어도 남는 것이 없다면 그것은 진정한 독서가 아니다. 기억하기 위해서는 어떤 흔적이라도 남겨야 한다. 단순한 감상을 넘어 제 3자를 독자로 하는 글이 서평이다. 책을 읽지 않은 독자를 위해서 읽을 책과 읽지 말아야 할 책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평을 쓰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나와 같은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점을 알려주고 무엇을 중점으로 쓸것인가. 서평이 갖추어야 할 구성까지 알려준다.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서평고수들의 조언들을 읽을 수 있는데 한결같은 말씀은 꼼꼼히 읽고 매일 쓰라는 것이다. 열번 읽어도 매일 쓰지 않으면 소용없다. 모든 기술은 갈고 닦아야 한다. 잘 쓰고 싶다면 당장 써라. 매일 단 한 줄이라도.
서평을 잘 쓰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너무 잘 쓰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어깨에 힘을 빼고, 가볍게 읽은 책 정리하기, 과용은 금물, 시작은 미미하게. 감동과 재미, 실망과 질문 낯섦과 두려움, 어던 감정이라고 좋습니다. 책이 준 감흥이라면 무엇이든 글감이 됩니다. 그러니 소재가 없어 막막한 사람이라며, 서평부터 써봅시다. 책 속 곳곳의 글감을 정리하다 보면, 생각도 분명해지고 표현력도 좋아질 것입니다. 18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나요?" 라는 질문에 그의 답은 명쾌했습니다. "매일 쓰면 됩니다." 그의 단단한 필력은 매일 쓰기의 산물이었습니다. 31
실제로 '책을 읽는데도 왜 나는 달라지지 않는가?'와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저는 이런 분들에게 반드시 글쓰기를 권합니다. 글쓰기는 인문 공부의 첫걸음이자 종착지로, 자신을 성찰하는 최고의 공부니까요.
'변한게 없다, 나아지지 않는다'는 고민에 빠졌다면 본인의 책장을 살펴보길 바랍니다. 어쩌면 자신과 맞는 책, 당장 서먹을 게 있는 책만 읽엇던 건 아닐가요? 37
책은 최소 두 번은 정성 들여 읽어야 합니다. 1차 독서후엔 밑줄과 표시를 따로 빼서 정리합니다. 필사나 발췌 연습이 되겟지요. 1차 독서 후에는 '조사 단계로 들어갑니다. 무엇을 조사할까요. 이 작품의 배경, 작ㄱ가 연구, 작품 해석, 언론이나 일반 독자의 서평을 살펴보는 과정입니다. .......... 다른 글을 읽으면서도 나늬 감각을 깨워야 합니다. 내 생각을 단단히 곧추세우는 파수꾼이 되어야 합니다.46
서평을 쓰는 이유는 자기 관점을 정리하기 위해서입니다. 보통 서평과 관점의 관계는 세 가지로 추릴 수 있습니다. 첫째, 뚜렷한 관점으로 서평을 쓰는 경우. 둘째, 서평을 스면서 관점이 정리되는 경우. 셋째 모호한 관점으로 마무리하는 경우 등입니다. 셋 다 나름의 소득이 있습니다.99
단순히 리뷰를 잘 쓰기 위해 비평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스스로 행복해지기 위해, 내 삶을 찾기 위해 우리는 비평을 합니다. 처음에는 문턱이 높아 보이겟지만 조금씩 연습하다 보면, 비평만큼 즐거운 놀이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자기 입장과 주관을 뚜렷이 하는 습관이 될테니까요.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