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인들의 목소리 - 시민과 디아스포라 사이 사이 시리즈 6
이선주 지음 / 그린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린비 출판사에서 만들었다. 믿음이 간다. 이 책은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야기이다. 요즘 디아스포라에 관심이 가다보니 눈에 들어오는 책도 다 이런 책들이다. 하지만 이 책은 여러 학자들의 담론이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읽힌다. 디아스포라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때문이다. 존 오카다의 <노노보이>, 창래 리의 <네이티브 스피커>, <제스처 라이프>, 수키 김의 <통역사>, 카렌 테이 야마시타의 <오렌지 회귀선>이 그 주인공이다. 수키 김의 소설을 읽어보고 싶다. 저자는 디아스포라를 이야기하기 위해 시민권의 역사부터 시작한다. 기초부터 시작하는 것이 이해도 빠르고 정리도 잘된다. 이제 디아스포라에 관해서는 웬만큼 안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공부할 내용이 많구나.

   왜 사람들은 타인에 대해 두려움과 경계심을 가질까? 나와 다른 피부색을 가진 사람에게 왜 거부감을 느끼는 것일까? 인간이라는 공통점 하나로는 부족한 것일까? 역사적으로 디아스포라가 받은 차별을 공부하다 보면 섬뜩해진다. 아무리 생각해도 유럽과 미국에서 비인간적인 이민자 차별법이 너무 많았다. 그리고 여전히 많다. 세계는 하나라고 떠들지만, 여전히 민족국가는 존재하고, 국가에 위기가 닥쳐올 때마다 민족국가의 개념은 활발하게 부활한다. 세계는 결코 하나가 되지 못할 것이다. 다양한 피부색이 함께 모여 평등하게 사는 미래도 오지 않을 것 같다. 그런 생각을 하니 왠지 외국에 여행 가고 싶은 마음이 싹 사라진다.

 

   디아스포라는 기원전 607년 이스라엘에서 바빌론 사람들에게 쫒겨났던 유대인들을 지칭하는, 성서적 기원을 가지고 있는 용어이다. 현재도 첫글자를 대문자로 쓸 때에는 바빌로니아로 강제 이주를 당한 유대인들을 특정하게 지칭한다. 히브리 성서가 고대 그리스어로 번역되면서 그리스인들이 소아시아와 지중해 연안을 무력으로 정복하고 식민지로 삼은 뒤 그곳으로 자국민을 이주시키면서 이들 이주민을 디아스포라라고 칭하였다. 디아스포라는 ‘흩어진 자들’ 또는 ‘산포된 자들’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37

 

   피부색이 다른 아시아인들의 경우에는 미국으로의 이주 조건이 유럽인의 경우보다 훨씬 강제적이고 열악했다. 서구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포화를 맞은 중국인과 인도인이 맨 먼저 국제적 노동시장으로 떠나기 시작하는데 이들은 쿨리(Coolie)로 상징되는 계약노동자로서 미국과 하와이에 들어갔다. 1830년대에서 1930년대에 걸쳐 이루어진 인도인과 중국인의 쿨리 교역 규모는 3,700만 명에 이른다 한다. 이 수는 신대륙으로 이주한 유럽인의 이민자 수보다도 더 많다. 쿨리는 계약노동자로서 인력 충원업자에 의해 모집되어 선불금과 이동 비용을 빌미로 고용주에게 팔아넘겨진다. 그들은 고용주에게 진 빛을 상환하기 위해 계약노동을 해야 했으며,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이나 서부의 철도 공사장 등 가장 힘든 노동 현장에 투입되었다. 42.

 

   미국은 자본주의의 폭발적인 팽창과 서부개발에 따른 극심한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여러 법적 절차를 만들고 수정한다. 1844년 미국은 중국과 통상을 개시하고 규제하는 조약을 체결하였고, 중국인도 다른 나라 출신의 이민자와 마찬가지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1868년 조약은 시민권 취득이 가능함을 명문화하면서 대신 중국에게 미국 상품에 대한 문호 개방과 중국인의 해외 송출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미국은 1882년 ‘중국인 배제법’으로 이를 번복하여 중국인의 이민을 중지시킨다. 그 일차적 배경에는 경제적 이유가 있었다. 미국에 정착한 중국인의 수가 10만을 넘어서자 미국 당국은 중국인의 세력화와 이에 따른 임금 상승이 염려되기 시작했고, 이에 일본인이나 필리핀인 등 다른 아시아인들을 들어오게 함으로써 이를 견제하고자 했다. 중국인을 더 이상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대신 1885년부터 일본인 쿨리를 수입하였다.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과 서부의 건설 현장은 일본인들로 빠르게 채워졌다. 1920년대까지 일본인 약 20만 명이 하와이로 이주해 왔다. 그러다가 일본인 수가 많아지면서 파업이 발생하는 등 노동 통제에 어려움을 겪에 되자 조선인 노동자를 충원하기 시작하여 1903년에서 1905년 사이에 7,000여 명을 하와이로 들어오게 한다. 미국은 이처럼 파업 억제와 임금 인하를 위해 같은 민족의 수가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노동자들을 들여왔다. 이러던 것도 1924년에 개정된 이민법에 의해 아시아의 거의 모든 나라, 특히 중국, 일본, 한국으로부터의 이민은 약 40년 넘게 금지되기에 이른다. 43.

 

   <통역사>에서 문화번역은 일방통행이다. 주류 문화는 변화하지 않고,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따라야만 하는 원본으로 인식된다. 주류 사회는 이민자 문화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그것을 이해할 필요성도 잘 느끼지 못했다. 이민자들은 주류 사회에서 제대로 번역되지 못하는데, 심지어 가장 정확하게 번역되어야 할 법정에서도 그렇다. 1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