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암전들
저스틴 토레스 지음, 송섬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10월
평점 :
성지향성과 성정체성은 다른 것인데 성소수자에게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들도 어쩌면 틀에 갇혔다는 생각을 했다. 타고난 것들에도 고정된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영화의 장면인 것처럼 얘기하는 것도 그 영향이 아닐까. 그래서 후안은 누군가에 의해 검은 줄이 그어진 『성적 변종들』도 상관없던 거다. 우리는 자신의 이야기에도 거짓을 추가하고 조작하기도 하니까.
_P.60
「맞아요. 정확히 그 말처럼, 당신의 에고를 훔치고 싶었어요. 아, 그 시절 전 참담했어요. 제 몸이 수치스러웠어요. 살갗을 찢고 나가고 싶었어요. 세상을 알고 싶었어요.」
_P.122
낮이면 나는 책을, 삭제된 페이지들을 읽고 또 읽었다. 이 증언들 속에서 나는 무엇을 찾아야 할까? 위로? 전략? 후안이라는 사람? 그러나 후안도 연구의 참여자 중 하나였느냐고 내가 묻자 그는 그저 웃기만 했다.
「나? 그럴 리가. 계산 좀 해 봐라. 여기 실렸다면 죽은 지 오래였겠지.」
「죄송해요, 후안.」
「난 안 죽었잖니?」
「안 죽었죠, 후안.」
「그런데 너는 - 살아 있는 거냐, 아니면 유령이냐? 말해보렴, 꼬마 소년아. 여기서 뭐 하는 거니?」
_P.223
「맞아요, 후안. 하지만 그 시절엔 누가 날 사랑하게 만드는 법은 그것밖에 몰랐어요. 몸부림치는thrashing 것.」
「몸부림? 멋진 말이구나....... 털어 내는threshing 게 지닌 쓸모와 망가뜨리는trashing 게 가진 낭비와 폭력의 중간 어디쯤. 그게 바로 요령이지? 내가 그걸 좀 일찍 알았더라면.......」
「침대 위에서도, 밖에서도, 늘, 몸부림쳤죠.」
_P.329
「떠나라 간청하지 마시옵소서? 모든 결말은 지저분한 결말이란다, 네네. 앞날에 놓인 모든 것은 위대한 망각이다. 이제 언제라도 암전이 찾아올 거다. 그리고 몸은....... 네네, 모든 끝은 지저분하지.」
✦ 열린책들에서 책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