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백질 혁명 - 인체 원리에서 신약 개발까지, 바이오 시대를 이끄는 새로운 과학
김성훈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작가 : 김성훈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및 의과대학 연구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왜 과학계는 단백질에 주목하는가?
성장기에 있는 아이를 둔 가정, 다이어트, 근육 생성에 관심이 많은 노년층 등 단백질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 영역이다. 이 책의 저자는 단백질이 우리의 생명 및 건강과 직결된 가장 중요한 생체 분자이기 때문에 과학계가 단백질에 주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1장에서는 생명의 두 번째 암호, 단백질, 2장에서는 생로병사의 비밀을 풀다, 3장에서는 음식에 담긴 단백질의 과학, 4장에서는 사람을 살리는 약, 사람을 죽이는 약, 5장에서는 바이오 혁신과 생명의 미래에 대해 다룬다. 목차를 읽어보니, 단백질은 이제 모두의 필수 상식이라고 주장하는 저자의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단백질에 대한 소개를 읽어보니, 그 내용이 흥미진진하다. 단백질을 알아야 기능이 보인다고 하는데, 저자는 생명을 유지하는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을 7가지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 몸의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 몸속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의 촉매, 각 기관에 필요한 물질을 나르는 운반자, 외부의 병원체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는 경찰, 건강 신호를 전달하는 메신저, 근육을 움직이는 힘, 최후의 에너지원. 이렇게 단백질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유는 각 단백질들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최적의 3차원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단백질을 알면 우리 몸뿐 아니라 이를 통해 펼쳐질 신세계를 미리 엿볼 수 있다


음식에 담긴 담백질의 과학 부분을 보니, 감칠맛에 숨겨진 비밀, 사람을 홀리는 향기의 정체, 설탕보다 200배 달콤한 슈퍼 감미료 와 같은 식품의 성분을 다루는 전문가들이나 사업가들의 마인드와 손길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백질 연구가 만들어갈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단백질은 우리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가장 중요한 생체분자고, 항체, 효소, 호르몬, 백신 등 수많은 약물의 소재가 단백질이라고 한다. 이처럼 단백질은 사람의 건강과 생활 전반에 수많은 제품들로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과학을 읽는 새로운 키워드 단백질에 담겨 있는 무궁무진한 세계에 대해 유전자부터 생명의 미래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세밀한 분야를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과학서라고 볼 수 있다. 단백질이라는 물질을 통해 과학과 인체의 생리, 식품과 질병 등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보길 추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