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셰프 서유구의 만두 이야기 임원경제지 전통음식 복원 및 현대화 시리즈 10
우석대학교 전통생활문화연구소 외 지음, 임원경제연구소.이윤호 옮김, 곽미경 감수 / 자연경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셰프 서유구의 만두 이야기> 우석대학교 전통생활문화연구소, 자연경실, 풍석문화재단

이 책은 조선 실학자 서유구가 쓴 <임원경제지>의 여덟 번째 지인 <정조지>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다양한 생활상을 정리해둔 임원경제지에서 정조지는 음식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었다고 한다. 무려 1070개의 조리법이 실린 정조지에서 만두에 대한 조리법을 뽑아 이야기를 시작한다.

우리나라에서 만두가 기록으로 등장한 것은 고려시대부터라고 한다. 하지만 삼국시대부터 만두를 먹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어 그 유래나 기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만두라는 음식의 기원에서 삼국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제갈공명의 설화는 전설같은 이야기일 뿐이고 실제로는 다양한 기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여겨지는데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만두 문화 자체가 외부에서 유입된 문화일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그 시기나 방법들도 다양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사실 세계적으로 만두와 비슷한 음식은 너무나도 많은 것 같다. 이태리의 라비올리나 인도의 사모사처럼 무언가 속을 채워 익혀먹는 다는 조리법은 어쩌면 전세계적으로 흔하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조리법일 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는 정조지에 소개된 오래되면서도 특이한 만두문화에 대해서 소개하고 현대에서 즐기고 있는 전국 팔도의 독특한 만두에 대한 소개와 세계의 만두와 유사한 음식들도 함께 담고 있어 진짜 만두 백과사전이자 만두 조리법의 종합판이라고 부를 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새에 속을 채운 것도 만두 조리법으로 소개되는데 문득 삼계탕도 그렇게 보면 만두와 유사한 조리법 같다는 느낌이 있었고 명태껍질과 같은 다양한 피도 신기하고 정말 찌거나 굽거나 튀겨서 먹을 수 있는 육해공의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만두의 세계에 감탄하게 된다.

음식을 좋아하고 만두도 나름 즐기는 편이라 생각했는데 내가 모르는 만두가 이렇게 많다니 그저 신기하고 책에 소개된 조리법을 모두 따라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우석대학교 전통생활문화연구소에서 임원경제지에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에서 만들어진 책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좋은 내용과 훌륭한 성과를 출판한 것에 감사하고 앞으로의 작업도 응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빅데이터 시대, 올바른 인사이트를 위한 통계 101×데이터 분석 - 데이터는 다뤄도 통계까지 배울 시간은 없었던 당신에게
아베 마사토 지음, 안동현 옮김 / 프리렉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계 101 x 데이터 분석> 아베 마사토, 안동현, 프리텍

빅데이터 시대, 올바른 인사이트를 위한 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이 책은 통계학이란 무엇이고 통계학에서 다루는 수학적인 이론과 그 이론을 통해 실제로 어떻게 가설검정을 진행하는지 그러기 위해 통계 모형을 만들고 실제 인과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법들을 소개하면서 현재 유행하고 있는 인공지능이 실제 통계를 어떻게 활용해서 추론을 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일본인 저자가 쓴 일본에서 먼저 출간된 책 답게 책은 다양한 삽화를 통해 통계이론을 하나하나 쉽게쉽게 읽히며 이해에 도움을 준다.

통계학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컴퓨터의 발전없이 성립하기 어려운 학문이었고 데이터를 다루는 학문이라 수학적인 내용이 쉬운 부분도 있고 데이터의 복잡도에 따라 수학적 이해도가 높아져야 하는 부분들도 발생하는 재미난 학문이다.

그리고 분석하는 분석자의 가설 설계가 실제 데이터 검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쩌면 가설을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 학문이라 다양한 이학과 공학에서 기본적으로 배우는 학문이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시대 통계학은 데이터 속에 들어있는 우리가 잘 몰랐던 우리들의 패턴을 찾아내는 능력을 보여주며 인사이트에 눈을 뜨게 해주었다.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알아가면서 인사이트를 찾아내는 작업이 단순히 이론만으로는 결코 쉽지 않은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한 작업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그 사이사이 놓치는 수학적 기초에 대해 다시 이 책을 통해 매워나가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이 우리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면 - 뇌를 스캔하는 신경과학의 현재와 미래
존-딜런 헤인즈.마티아스 에콜트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 우리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면> 존-딜런 헤인즈, 마티아스 에를트, 배명자, 흐름출판

최근 아이들의 전공이야기를 하다가 심리학과 인지과학, 신경과학을 내가 구분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심리학과 인지과학, 신경과학의 차이와 경계에 대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 (뇌의 작동 및 몸의 움직임의 제어 포함)의 과정 및 내용과, 동물 및 인공적 지적 시스템에서의 지능(Intelligence)의 정보적 표상(표현)과 그 작동 과정을 연구하는 종합적, 다학문적 과학이다. 인지과학은 심리학, 철학, 신경과학, 언어학, 인류학, 전산학, 학습과학, 교육학, 사회학, 생물학, 로보틱스 등의 여러 학문과 연관되어 있다.

신경과학(神經科學, neuroscience 또는 뇌신경과학)은 뇌를 포함한 모든 신경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신경과학은 우리가 외부 환경을 어떻게 인지하며 경험하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과 어떻게 상호관계를 맺는지 등을 밝혀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신경과학은 유전학, 생화학, 생리학, 약리학, 병리학, 진화 생물학 등의 학문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생물학의 한 분야로 여겨진다. 그러나 신경과학은 학문의 특성상 생물학의 한 분야라고만 단정 짓기는 어려우며, 실제로 심리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물리학, 의학, 언어학, 철학, 수학 등의 다른 분야의 학문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

이 책은 신경과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저자가 신경과학을 통해 인간이 밝혀낸 뇌과학의 신경과학적 실체와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신경계통과 뇌 스캔을 통해 뇌언어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어떤 성과를 만들어냈으며 어떻게 발전해 갈 것인지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여러가지 이유로 끊임없이 타인의 생각을 읽고 싶어한다. 심리학은 임상적인 차원에서 접근이라면 신경과학은 실제로 뇌의 어느 부분 시냅스가 얼마만큼 활성화되는지 분석해 뇌가 판단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주로 fMRI를 이용해 뇌스캔된 결과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인간의 인지능력을 분석하는 학문이지만 인간의 의식과 결정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잘 보여주는 과정이기도 했다.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거꾸로 이러한 인지과학과 신경과학의 결과물들을 차용해 인공지능 기술을 발전시켜나가고 있어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따라잡는 특이점이 언젠가는 분명하게 올 것이라고 여겨진다. 다만, 그 시기가 빠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타인의 생각을 미리 읽고 판단에 대해 미리 재단하는 것에 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라는 영화 속 상황을 자주 인용하고 있는데 실제 인간의 생각을 법으로 재단하는 것이 얼마나 미묘한 문제인지 이 책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들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지금까지 몰랐던 사실 중에서 인간의 의사결정이 실제 뇌에서 판단되어 나타날때 시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는 사실과 무의식적인 판단은 의외로 조건반사와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잘 일어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인간의 뇌와 신경은 890억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다양하게 프로그래밍되는 구조로 기억과 판단 프로세스가 진행된다는 점은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프로그래밍되는 코드는 아직 누구도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한 것 같다.

과연 타인의 생각을 읽어내는 날이 왔을때 우리는 그것을 어떤 식으로 활용하게 될 것인지 이 책에서 말하는 법제화 정도만으로는 많은 허점이 있을 것으로 보여 두려움이 앞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지에서 바로 쓰는 시원스쿨 여행 일본어 (스프링) - 워터프루프, 플라스틱북, 해설강의, MP3 제공
오오츠루 아야카 지음 / 시원스쿨닷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지에서 바로 쓰는 시원스쿨 여행일본어> 오오츠쿠 아야카, 시원스쿨닷컴

일본어 여행책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워터프루프로 제작된 여행용 회화책이라는 점이 끌렸다. 여행 중에 여행용 회화책을 들고 다니다 보면 잘 떨어뜨리기도 하고 음식점 테이블에 올려두었다가 무언가 튀어서 얼룩이 잡혀 난감한 적도 많았던 터라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여행회화책은 무척 유용할 것 같다.

최근 내가 직접 이용해본적은 없지만 다양한 외국어 강의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시원스쿨닷컴은 광고에서 많이 접했었고 영어, 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 같은 대중적인 인기언어 뿐아니라 인도네시아어나 베트남어, 힌디어 같은 아시아권의 다양한 언어에 대한 강좌도 운영하고 있어 신기한 마음으로 언젠가 배워보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 외국어 전문 강좌를 운영하는 곳에서 만든 여행용 회화책이라는 점에서 믿음이 갔고 여행용 회화책답게 한손에 딱들어오는 크기가 일단 맘에 들었다.

인사와 같은 기본적인 표현부터 숫자세기 등 기본용법에도 충실하고 여행지에서 발생할 다양한 상황을 꼼꼼히 정리해 둔 점도 좋았고 각 표현마다 QR코드로 접근가능한 원어민 발음이나 무료 MP3를 다운로드 받아 실제 회화표현 발음을 익힐 수 있는 점도 장점이라고 느껴진다.

플라스틱북으로 만들다 보니 내구성 때문인지 페이지의 두께가 두꺼워 실제 책의 두께에 비해선 상황별로 응용할 수 있는 간단한 단어집과 같은 내용이 빠진 것은 조금 아쉬웠다.

어찌되었든 일본 무비자 여행이 다시 재개되었으니 이제 이 책을 들고 다시 일본여행을 시작해봐야겠다. 올해 안에 다시 간다면 교토의 가을 정취를 다시 즐겨보고 싶다. 우리보다 가을이 늦으니 운 좋으면 시간을 맞춰볼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년 명화 탁상 달력 : 클로드 모네 ‘빛을 그리다’ - Claude Monet Schedule Calendar 2023년 명화 탁상 달력
언제나북스 편집부 지음 / 언제나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2023년 명화 탁상 달력 : 클로드 모네 '빛을 그리다'> 언제나북스

2022년 10월 중반인데 벌써 2023년 달력이 나오기 시작한다. 슬슬 한해를 마무리하며 내년을 준비해야 할 시간이 다가온다는 뜻일 것이다.

우연히 메트로폴리탄에서 접한 그림에 반해 내가 가장 사랑하는 화가가 된 클로드 모네의 그림으로 이루어진 탁상 달력이라니 넘 반가웠다.

빛을 그린 화가라는 별명답게 그의 그림은 빛으로 가득하다. 햇살가득한 빛도 있지만 아침과 저녁의 어스름한 빛도 있고 흐리고 스산한 날의 빛들도 존재한다. 세상에 있는 모든 빛을 그리고 싶었던 것일까? 모네에 대해 알고 싶어 프랑스 여행때 일부러 지베르니로 찾아가 모네가 마지막에 살았던 집과 정원 그리고 수련으로 유명한 일본식 느낌이 가득한 연못까지 둘러보며 모네가 바로보았던 빛의 흔적을 따라다녔다.

실제로 우리가 주변에서 만나는 빛을 그림에서 표현한다는 것이 가지는 의미를 잘 몰랐을 때는 인상파의 작품들이 크게 와닿지 않았었는데 여러 미술사를 공부하며 알게된 인상파의 위대함과 실제 작품 속 빛을 내 눈으로 확인했던 순간의 감동은 인상파 작품에 열광하게 만들었다.


이번 언제나북스에서 제작한 명화 탁상 달력의 클로드 모네편은

FRONT <Woman with a Parasol – Madame Monet and Her Son,1875>
2022년 12월 <Woman with a Parasol – Madame Monet and Her Son,1875>

2023년
1월 <Antibes, Le Fort, 1888>
2월 <Au Bord Du Fjord De Christiania, 1895>
3월 <Champ De Blé, 1881>
4월 <Antibes, Le Fort , 1888>
5월 <Champ De Blé, 1881>
6월 <Poirier En Fleurs, 1885>
7월 <Le Matin, temps brumeux, Pourville(Misty Morning at Pourville), 1882>
8월 <The Bridge at Argenteuil, 1874>
9월 <The Willows, 1880>
10월 <Le Bassin aux nymphéas , 1917-19>
11월 <Waterloo Bridge, 1903>
12월 <Le Givre À Giverny, 1885>
BACK <Poplars in the Sun, 1891>

순서로 각 달마다 뒤편에 모네의 그림을 담고 달마다 적용된 그림에 대한 작품명과 탁상달력 기능에 충실한 큼직한 크기에 넓직한 날짜 상자와 간단한 메모가 가능하도록 달력이 구성되어 있어 내년 사무실 책상의 메인 달력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바쁜 업무시간 중에 만나는 모네의 그림이지만 그림 속 빛을 즐길 여유가 있는 2023년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